ADVERTISEMENT

“문·안 단일화 논의하라” 자리 펴는 문화계·사회단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가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재외선거대책위 발대식에 참석해 해외동포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같은 날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가 서울 공평동 선거캠프에서 열린 노동연대센터 발족식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파이팅하고 있는 모습. [김경빈 기자]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 간 단일화 논의에 각 분야 사회단체들이 압력을 넣기 시작했다. 두 후보가 ‘국민’의 이름으로 단일화 논의를 시작할 수 있도록 자락을 깔아주려는 것이다.

 문화계와 영화계·미술계·종교계·학계 인사 48명은 2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개혁과 단일화가 곧 민주주의이자 시대정신”이라며 “후보 단일화 실패로 한국 민주주의와 사회발전 수준을 심각하게 후퇴시켰던 1987년의 실패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87년의 실패란 야권 김영삼(민주당)-김대중(평민당) 후보 간 단일화 실패로 민정당 노태우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걸 말한다.

 회견에는 소설가 황석영·김연수씨, 영화감독 정지영·송해성씨, 화가 임옥상씨, 지관 스님,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문 후보에게 “선대위의 뒷전에서 여전히 낡은 체제를 유지하려 한다면 민주당의 개혁을 강하게 요구할 것”이라고, 안 후보에겐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언급만이 아니라 정치개혁의 구체적 청사진과 방도를 제시하라”고 압박했다.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함세웅 신부 등 범야권 원로들로 구성된 ‘희망2013승리2012 원탁회의’도 조만간 두 후보의 단일화를 촉구하는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한다.

 문 후보 측에 비해 단일화에 소극적이었던 안 후보 측의 기류도 조금씩 바뀌는 분위기다.

 안 후보 캠프의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국민이 단일화 과정을 만들어 주면 그에 따르고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태섭 상황실장은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해 “단일화 과정이 마련된다면 (단일화) 방법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박 본부장은 기자들이 “문화예술계 및 학계 인사들이 후보 단일화를 촉구한 걸 국민의 단일화 바람으로 볼 수 있느냐”고 묻자 “넓은 의미에서 그렇게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좀 더 광범한 국민의 의견을 들으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단일화 가능성을 닫아놓지는 않되 아직도 서두를 단계는 아니라는 생각인 것 같다. 세력에서 열세인 무소속 후보로선 1~2주 정도는 더 지지율 격차를 벌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생각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안 후보 캠프 관계자는 “안 후보가 최근 회의에서 ‘10월 말께 되면 문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를 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 후보는 상대적으로 서두르는 인상이다. 문 후보는 전날 호남 의원들과의 만찬에서도 “단일화가 쉬운 일이 아니다. 본선보다 단일화가 더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문 후보 핵심 측근은 “단일화가 성사되기 어렵다는 뜻이 아니라 안 후보와의 경쟁에서 이기는 게 쉽지 않으니 긴장해 달라는 뜻이었다”고 설명했다. 문 후보 측 우상호 공보단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이번 주부터 실제 레이스가 시작된 것”이라며 “문 후보의 지지율 정체 현상이 마무리되고, 10월 말과 11월 초 판이 출렁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단일화는 말이 아니라 실제 사람이 오가는 식으로 진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협상창구가 가동될 것이란 얘기다.

 문 후보는 이날 구체적인 ‘정치개혁안’도 제시했다. 전날 친노계 측근 9인의 퇴진으로 인적 쇄신 문제는 정리했다고 보고 다음 단계로 논의를 진전시킨 셈이다. 개혁안의 핵심은 ‘기득권 포기’에 맞춰졌다. 안 후보 측이 요구해온 사항이기도 하다. 문 후보는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지역구 의석을 200석으로 축소하고 비례대표 의석을 100석으로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하는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도입 등이 포함됐다. 문 후보는 “비례대표를 포함한 공직후보 공천권을 국민에게 완전히 돌려주겠다”고도 했다. “선거 때 급하게 꾸려지는 공천심사위원회 방식으론 한계가 있었고 국민경선과 모바일 투표도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면서다. 구체적인 안은 전날 구성한 ‘새로운 정치위원회’가 마련하는 것으로 몫을 남겨 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