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직원 이직행렬 이어져

중앙일보

입력

취업제한 대상 직급의 확대 이후 금융감독원 직원의 이직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문홍순 비은행검사2국장 등 12명의 임직원이금감원을 떠난데 이어 이달들어 20일 현재 임용웅 부원장보를 포함 7명의 직원이 사표를 냈다.

지난 4월 직원 5명이 나간 것에 비해 크게 늘어난 수치다.

특히 이달들어 이직한 직원들은 삼성증권 감사로 내정됐다가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제동에 걸려 그대로 퇴직하고만 임 부원장보를 제외하고는 모두 조직의 기둥이랄수 있는 30대 중반의 4, 5급들로 대부분 벤처기업이나 유관 협회로 자리를 옮겼다.

취업제한 대상이 아닌데도 4, 5급 직원들의 사직서가 이어지는데 대해 젊은층 특유의 유연한 직업의식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지만 조직내에서의 앞날에 대한 불안감이라는 측면이 강하다.

무엇보다 퇴직전 3년간 인.허가, 검사, 감사 직종에서 근무한 공직자는 퇴직후2년간 해당분야 민간기업으로 취업할 수 없게한 전업제한 규정대상이 종전 임원에서지난달 31일부터 2급 이상 간부까지 확대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국내에는 드문 `강등(降等)'이라는 살벌한 인사제도까지 도입하고 있는 금감원이 지난달 인사에서 팀장을 팀원으로 내려앉히는 등 17명을 강등시킨 것도 불안감의한 원인이 됐다.

이달말까지 재산등록을 해야하는 1.2급 간부급 직원과 임원들도 좌불안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구조조정 업무를 취급하는 탓에 금감원에 대한 시선이 차가운데다 엄청난 노동강도에도 불구하고 재산등록이나 취업제한 등 규제 조치가 계속 이어지면서 일할 맛이 안난다는 직원들이 많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한국은행이나 예금보험공사 등 유관기관은 그같은 전업제한이 없는데 왜 유독 금감원에만 적용하느냐"며 "결원이 61명에 이르는데도 묵묵히 일하고있는 금감원의 노고도 좀 알아달라"고 하소연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