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단기 유학 고려해 볼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필자는 지난 2년간 한양대에서 '해외취업 및 인턴십 개발'이라는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해외 진출의 방법을 가르쳐 왔다. 요즈음 어려운 국내취업현실 때문에 해외로 눈길을 돌려는 학생들이 많고 실제로 관심이 높다. 하지만 외국에서 전문직 인턴십을 할 수 있을 만큼, 실력과 자격을 갖춘 우리 학생들은 많지 않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중.고교 시절 세계 어느 나라 학생들보다 열심히 공부하지만 대학을 졸업 후 진출할 수 있는 무대는 국내 기업들뿐이다. 심지어 일부 대기업에서는 해외의 인재를 선발해 들여오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학교에서 받는 교육만으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기에 충분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웅변하고 있는 셈이다.

상당수 대학생들이 재학 중에 해외 어학연수나 해외인턴십 등을 통하여 해외문화 체험과 어학실력 양성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때는 어릴 때에 비해 언어습득이나 외국 친구들을 사귀는 데 있어서 그 효과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

최근 몇 년간 미국 등지의 교환학생을 지원하는 우리나라 중고생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은 이런 까닭이다. 교환학생프로그램 통하여 익힌 영어와 외국 문화에 대한 체험은 국내 대학 진학 후 외국 교환학생이나 해외 인턴십 등을 지원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교환학생 경험을 바탕으로 외국어고나 주요 대학의 외국어 특기자로 들어가는 학생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학생들은 자연 졸업 후 진로 선택의 폭도 더 커진다.

어학 능력 향상의 효과 면에서 보면 초등학교 때에 조기유학을 보내면 것이 제일 좋다. 그 때문인지 요즘 초등학교 때 6개월이나 1년 정도를 해외로 가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학생은 중.고 시절 다시 미국 교환학생으로 나갈 수 있으며 국내 대학 에 진학 후 제휴한 해외 대학으로 교환학생을 나가기도 쉽다.

초등학교 해외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경우 주의해야 할 것도 많다. 제일 선호하는 미국은 단순한 캠프 등이 아니면 학교체험 프로그램은 참가하기가 힘들다. 미국 공립학교는 외국인 입학이 힘들다. 사립학교의 경우는 초등학생들을 받아 준다. 하지만 설령 미 사립고의 입학허가를 받더라도 유학 비자를 받기가 어렵다. 미 대사관의 영사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유학 가는 국내 학생들은 대부분 미국에 남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비자 내주기를 꺼린다.

하지만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 특히 캐나다의 경우는 다르다. 국내 학생들은 8세부터 19세까지 캐나다의 소도시에서 9월부터 다음해 6월까지 이어지는 수업기간 중 캐나다 공립학교나 카톨릭학교에 입학할 수 있다. 최소 등록기간도 4주면 되니까 겨울방학을 이용하면 충분히 캐나다의 공립학교에서 그들과 함께 생활하며 공부할 수 있다. 현지인 집에서 홈스테이 하면서 지역의 문화와 생활방식을 자연스럽게 배우고 영어도 익힐 수 있다. 어릴 때에 익힌 문화체험은 자녀의 평생을 통하여 귀중한 자산이 될 것이다. 글로벌시대의 경쟁력은 어릴 때부터 빨리 갖추어 나쁠 게 없다.

홍영규 미국변호사(www.globaleye.com)/

'유학.이민 홍영규와 상담하세요' 저자.

(조인스닷컴 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