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입수 민주당 보고서보니 "주도권 확보 위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민주통합당 경선이 끝나면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할 뜻을 내비치면서 야권후보 단일화 게임이 불가피하게 됐다.

 특히 정당 기반이 없는 안 원장이 민주당과의 관계 설정에 고심하고 있음이 그를 만난 인사들에 의해 드러나고 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 원장은 지난달 10일 김부겸 전 민주당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 “민주당과 어떻게 (관계 설정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고민을 털어놨다고 김 전 의원이 전했다. 이에 김 전 의원은 “안 원장에게 ‘민주당은 확장에는 무리가 따라도 없어질 정당은 아니다. 양측이 콤비네이션(조화)을 맺어야 한다. 경쟁 상대나 적이 아니다’라고 조언했다”고 말했다. 그간 안 원장과 접촉한 민주당 인사들은 이렇게 당과 안 원장 간의 파트너십을 강조하곤 했다.

 양측이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하든 대선까지 남은 90여 일 동안 안 원장과 민주당 후보는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경쟁에 돌입한 뒤 서로 유리한 시점에 단일화를 추진하려 할 것이며, 고리는 안 원장과 민주당의 ‘공동정부’가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지난해 연말 민주통합당 창당 이후 또 한 번의 ‘야권발 정계개편’이 예고된 셈이다.

 단일화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관건은 결국 지지율이다. 대선 후보 등록(11월 25, 26일)을 앞둔 어느 시점에 개시될 것으로 보이는 협상엔 세 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우선 안 원장이 민주당 후보를 크게 앞설 때다. 민주당은 안 원장에게 후보직을 내놓으라고 요구할 명분이 없어진다. 단일화 협상은 양측의 정치적 담판으로 가려질 수 있다. 대신 ‘안철수=대통령, 민주당 후보=국무총리’ 식의 공동정부 구성 협상이 시작될 전망이다. 이 경우 안 원장이 민주당적(黨籍)을 갖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가 새롭게 제기될 수 있다.

 반대로 민주당 후보가 안 원장을 추월해 격차를 벌렸을 땐 협상이 더 순조로울 수 있다. ‘개인’인 안 원장으로선 양보를 해도 잃을 게 별로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지지율 5%에 불과했던 박원순 변호사에게 40%대를 넘나들던 안 원장이 선뜻 후보직을 양보했던 전례도 있다. 안 원장 측과 가까운 민주당 관계자는 “안 원장은 신당 창당 같은 건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안 원장이 양보를 해야 할 땐 일이 쉽게 풀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두 사람 간 지지세가 팽팽할 때다. 현재 여러 여론조사를 종합하면 다자 대결,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양자대결에선 안 원장이 우위에 선다.

반면 단순한 야권단일 후보 적합도에선 민주당 후보가 안 원장에 상대적인 경쟁력을 갖는다. 이 경우 민주당 내부에서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 불공정 경선 시비로 감정이 상해 있는 비(非)노무현계 진영이 안 원장 쪽으로 쏠릴 수 있기 때문이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의 지지율 하락이 가속화하자 정몽준 의원으로의 단일화를 요구하며 생겨났던 ‘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 같은 그룹이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민주당은 일단 자당 후보가 안 원장과의 지지율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도록 최소한의 시간은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인 듯하다.

 본지가 입수한 민주당 전략기획위원회(위원장 진성준)의 ‘정국 현안 및 대응방안’이란 보고서엔 “단일화 선(先) 논의는 후보 선출에 따른 컨벤션 효과(전당대회 후 지지율 상승 효과) 감소 요인이므로 조기협상을 지양해야 한다”는 대목이 있다. 그러면서 “단일화 주도권 확보를 위해선 후보는 안철수와 포지티브 방식의 차별화 전략을 통해 지지율을 극대화하고, 당은 박근혜 검증 및 ‘세력으로서의 당’을 전면화하는 투트랙 전략을 짜야 한다”고도 했다. ‘개인 안철수’와 ‘민주당 대선 후보’의 세(勢)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줘야 한다는 계산이다.

또 “단일화 방식에서 민주당 경선 방식에 대한 안철수 측의 선제적 공격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안 원장 측이 조직력에서 앞서는 민주당 후보가 모바일 투표를 통한 단일화를 제안할 것을 염려해 미리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음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얘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