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에만 항암제 주입하는 약물전달체 개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정상 세포는 전혀 건드리지 않고 암 세포만 찾아가 항암제를 분출할 수 있는 약물 전달체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고려대 화학과 김종승(49) 교수와 경희대 동서의과학과 강철훈(51) 교수팀은 암세포까지 부작용이 거의 없이 항암제를 실어 나를 수 있는 약물 전달체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약물 수송열차 역할을 하는 이 전달체는 약물이 방출될 때 형광이 나오도록 해 외부에서 약물 전달 과정을 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정상 세포를 죽이는 부작용이 적고, 약효를 높일 수 있는 암 치료가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회지(JACS) 8월호 표지 논문으로 소개 됐다.

일반적으로 항암제는 독하기 때문에 정상세포나 암세포를 가리지 않고 죽인다. 그래서 정확하게 암세포에만 약물을 주입하는 것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연구진은 암세포에서 대량으로 나오는 단백질(RGD 펩타이드)을 약물 전달체가 표적으로 삼도록 했다. 약물 전달체를 주사하면 이 단백질이 있는 암세포를 자동으로 찾아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암세포를 만나기 전에는 약물이 약효를 나타내지도, 형광도 나오지 않도록 했다. 암세포에서 주로 나오는 성분과 결합해야만 약효가 나타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 덕에 정상 세포를 죽이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기존 약물 전달체는 주로 극미세 입자나 고분자로 만들어 져 약물 전달 뒤 그 잔해가 체 내에 남아 정상세포에 손상을 주는 부작용이 있었다. 또 약물 전달 효율을 제대로 알기도 어려웠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bpark@joongang.co.kr

☞약물 전달체(Drug Delivery System)=약물을 싣고 환부까지 가도록 하는 물질을 통칭한다. 약물이 위산이나 혈액 속에서 분해되지 않고, 환부에서만 약효가 나타나도록 하는 전달체 개발이 과학계의 숙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