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지방화는 시대적 요구

중앙일보

입력

열악한 지방의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으로 대폭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부산시청에서 `첨단과학기술과 지역산업발전방안''이라는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부산대 이갑수 교수는 "고도기술개발이라는 국가사무를 지방정부가 할 수 없다는 지방자치법의 제한규정은 지방 과학기술업무에 대한 당국의 소극성을 보여주는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지방과학기술의 발전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국가경제의 원동력임을감안한다면 지방과학기술정책을 전담하고 조정하는 업무가 지방정부의 중요한 기능중 하나로 자리잡아야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또 "지역기업의 역량이나 기업규모의 영세성을 고려할 때 지방과학기술은 지역대학이 중심이 된 산학협력이 효과적"이라고 지적하고 "지역 대학내 연구센터 설립과 매칭펀드 개념의 지역특화 연구개발프로그램 지원, 지역내 기술보육센터와 테크노파크 걸설사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산, 대구, 광주, 충남, 인천, 부산 등지에 조성 중인 테크노파크도 인근 지역대학 연구소의 특성을 고려해 입주 산업분야를 1-2가지로 압축해야 장기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충고했다.

그는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부산시의 모형도 제시했는데 "독일과 같이 과학기술자문관제도를 적극 활용, 지역 내 대학 연구소와 국책연구소, 시립연구소 등을 통합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가 지역 전문가와 기업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지역 첨단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시설로 과학단지와 테크노파크, 공동기자재연구센터를 조성하고 기술개발자금과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연구기자재 등을우선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연합뉴스) 박창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