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본, PKO 참여 자위대 기지 밖서도 제한적 무기 사용권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후지무라

일본 정부는 유엔 평화유지활동(PKO)에 참여한 자위대가 자위대 기지 밖에 있는 국제기관, 혹은 비정부기구(NGO) 직원이 공격받는 경우 제한적으로 무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할 방침이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9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국제기관의 직원 등이 생명의 위협을 받을 때 PKO에 참여한 자위대가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 자위대원의 판단에 혼란이 생기지 않도록 명확한 지침의 틀을 만드는 게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관련법 개정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외무성·방위성과의 협의 아래 현 정기국회 회기(9월 초 폐회) 중에 개정안을 제출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2001년에 개정된 현행 PKO협력법에는 ‘PKO 참가 5원칙’으로 “무기 사용은 요원의 생명 등의 방호(防護)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경우로 제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동안 자위대의 무기 사용은 민간인이 기지 내에 있는 등 ‘자기 관리하’에 있을 경우로만 한정돼 왔다. 법률 관련 최종 유권해석 기관인 내각 법제국이 2003년 5월 해외파견 자위대의 기지 밖 무력사용에 대해 “‘국가에 준하는 조직’에 대한 무력행사는 헌법 9조가 금지한 무력 행사에 해당할 우려가 있다”고 해석했기 때문이다. 헌법 9조는 ‘전쟁과 무력행사를 영원히 포기하고, 이를 목적으로 한 전력을 보유하지 않으며, 국가의 교전권도 인정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둘러싸고 오랫동안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주로 외무성 측이 “기지 밖에 있는 유엔 등 국제기관 요원이 공격받을 경우 기지 밖에 지원 나간 자위대원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단 말이냐”며 무기사용 확대를 요구해 온 반면 방위성 측은 “자위대 요원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며 반대해 왔다. 과거 자민당의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은 “(정부의 헌법 9조 해석이) 상식에 반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산케이신문은 10일 “헌법 위배 논란을 피하기 위해 시민에 대한 습격과 납치 등 신체에 급박한 위협이 있는, 이른바 ‘즉시 강제’의 경우에 한해 ‘실력’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할 방침”이라며 “그렇게 하면 무력 공격을 한 뒤 공격 혹은 테러의 주체가 ‘국가에 준하는 조직’으로 판명된다 해도 ‘즉시 강제’에 해당돼 헌법 9조에 반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한편 해외파병 자위대의 무력사용이 결과적으로 국가 간 분쟁으로 비화할 경우 일본이 제3국의 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있고, 광의의 집단적 자위권에 해당한다는 지적도 대두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