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퇴사자 조심'-기업정보 유출에 대기업 비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전자업계를 중심으로 기업 내부기밀 유출사건이 잇따라 발생, 대기업들에 비상이 걸렸다.

업계는 특히 퇴직자가 재직시 빼돌린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면서 `퇴사자관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잇따른 퇴사자 기밀유출 사건 = 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원지검은 이동통신 첨단기술을 디스켓에 복사해 빼낸 전직 삼성전자[05930] 선임연구원 2명을, 서울지검도 LG전자[02610] 기술원 전.현직 직원 3명을 각각 구속했다.

전직 삼성전자 연구원의 경우 작년 10월 실험실에서 음성부호SW 등 삼성전자가1천970억원의 개발비를 들인 이동통신 첨단기술을 복사해 나갔고 전직 LG전자 연구원도 현직 연구원과 함께 디지털TV 관련기술을 CD에 담아 빼돌렸다.

삼성 연구원 2명은 퇴사한 뒤 이들 기술을 바탕으로 벤처기업을 설립하려다 무산됐고, LG의 경우 책임연구원 출신 퇴사자가 디지털TV 관련 벤처기업을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에는 기밀유출 사건은 아니지만 연구인력의 경쟁사 취업 문제로 삼성전자가 LG정보통신을 상대로, 오리온전기가 UPD를 상대로 각각 전직금지 가처분신청을제기하기도 했다. 머리 속에 들어 있는 기술을 문제 삼은 것이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산업스파이 사건은 작년에만 40여건이 발생해 피해규모는기회손실 비용까지 포함, 수조원에 이른 것으로 추정됐다.

◇보안대책 속속 도입= 최근 사례가 입증하듯 정보유출이 심한 곳은 기술의 중요성이 절대적이고 발전속도가 빠른 전자업계. LG전자의 연구인력이 모여 있는 전자기술원은 PC를 사용할 때 개인별 스마트카드를 삽입해 사용자 및 내역을 파악하는 한편 별도의 보안 담당 조직이 정기적인 보안점검을 실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LG전자 관계자는 "직원이 평소와 다른 이상한 행동을 보이면 만일에 대비해 집중관리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그러나 과도한 보안점검은 직원들과의 마찰을 빚을수도 있어 출입할 때도 의심이 가는 경우에만 검색을 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도 핵심 연구시설에는 첨단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출입자들에 대한 상시점검을 하는 등 보안점검을 생활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입사자나 협력업체, 퇴사자에게 보안서약을 받는 것은 물론 이미 퇴사한 직원에게도 기밀 유출사례 등을 설명하고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안내장을 가끔씩 발송, 관리하는 방안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에는 이런 추세를 반영, 국가정보원이 기업체 및 연구소 주요 기밀의 무단유출을 막기 위해 `사이버 산업스파이 신고상담소'를 개설, 운영에 들어가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