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문가 칼럼] 농업의 가치 창조, 시스템에서 나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1면

정부가 지난해부터 역점적으로 조직개편을 단행한 사례 중 보건복지부의 식품산업 업무가 농림수산식품부로 전격 이관돼 업무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상태다. 단순한 업무 이관이 아닌 시스템의 결합이라고 봐야 한다. 또한 사례를 들자면, 농촌진흥청의 고유 업무 중 대다수가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사업들과 중첩돼 농업이 과연 정책과 떨어져서 단독으로 임무수행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는 듯 하다. 예를 들면, 식량산업·농기계지원사업·관광농업·식생활문화사업·화훼산업·유통구조 개선사업·축산산업·농업인육성에 따른 교육사업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농업기술의 산파는 기술보급과 연구사업으로 나눠 볼 수 있다. 21세기 디지털 농업시대를 맞아 다양한 농업인의 욕구충족에 적정한 대안이 되도록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문제는 기술지도에 대한 전문성이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다양하고 복잡한 농업정책 수행에 얽매이다 보면 자칫 본연의 임무가 소홀해 질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전환을 합리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농업과 농촌의 문제를 Hybrid 차원으로 접근해야 하며, 민·관·학·연의 상생적 관계 내지는 농업R&D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육성해야 할 시기다.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의 농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한 반면 농업인구는 2011년말 기준 300만 이하로 떨어졌다. 국민총생산(GDP)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2%대로 떨어졌다. 이에 따른 국민 1인당 쌀 소비량마저 70㎏이 무너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농업분야를 단순 숫자로만 분석해 관심을 줄이거나 중앙이든 지방정부에서 정책우선 차원에서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해서 신기술 도입이나 유통구조 개선사업 등 필요이상의 한 부문에 집중돼서도 안 된다.

이정희
아산시 농정유통과 마케팅팀장

아산시는 지난해 연말 미국 H-MART GROUP과 아산배 수출협약을 통해 연간 800톤으로 늘리기로 한 것은 매우 큰 성과였다. 이번에 또다시 5월부터 새송이 버섯을 월 20톤씩 12월까지 28만달러의 수출계약을 맺고 통관에 들어갔다. 농산물에 대한 수출은 사전에 수출대행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현지바이어와의 교섭관계를 잘 이끌어내야 성공한다. 수출과정에서 충남도와 아산시에서 수출물류비와 포장재제작비를 지원하고 있으나, 수출농업을 할 경우 많은 분야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를 동반하게 돼 정부에서도 장려하고 있다.

그렇다면 농업·농촌분야의 새로운 가치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에게 화두로 제시해 본다. 계층마다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겠지만, 혹자는 그래도 잘사는 농촌건설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의 공통분모는 가치 창조가 아닌가 싶다.

다시 한번 아산시 농정의 발전적 제언으로 농업분야의 활력은 마케팅을 어떻게 펼쳐야 하는지에 대한 초점이 맞춰진다. 강소농 육성이나 농업경영체 육성 등의 궁극적 목표는 농가 실질소득을 높이는 것이다. ‘생산·유통·소비’과정의 원활한 시스템이 이루어질 때 농업·농촌의 Hybrid는 성공할 것이다.

이정희 아산시 농정유통과 마케팅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