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체제 첫날부터 대선 룰 충돌한 새누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현충원 참배한 황우여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운데), 이한구 원내대표(오른쪽), 이혜훈 최고위원(왼쪽) 등 신임 지도부가 16일 오전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를 찾아 참배후 현충문을 나서고 있다. 이자스민·이상일 등 비례대표 당선자도 참석했다. [오종택 기자]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가 16일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놓고 첫날부터 충돌했다.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서다. 유일한 이명박계인 심재철 최고위원이 “황우여 대표가 당선 회견에서 오픈프라이머리의 문제점을 사전에 충분히 논의돼야 한다고 했는데 마찬가지 견해”라며 “당 사무처에서 장단점에 대한 본격적인 실무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픈프라이머리를 은근히 지도부 차원에서 공론화하려는 취지였다.

 그러자 박근혜계인 정우택 최고위원은 “지도부에서 공식적으로 실무 검토를 시키고 공식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차단하고 나섰다. 이어 유기준 최고위원도 “대선 후보 선출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경선)룰에 손을 댄다면 논의 과정에서부터 많은 논란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반발했다.

 그러나 황우여 대표는 최고위원회의 후 본지와 통화에서 “후보들의 문제제기가 있으면 정식으로 수렴하겠다”며 최고위원회에서 오픈프라이머리 문제를 검토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재오 의원은 이날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경선 룰은 후보들끼리 모여 논의해야 한다”며 “(박 전 대표도) 대선 후보 중 한 명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이 먼저 완전국민경선제로 자체 후보를 뽑고 야권연대 후보와 2차 경선을 한 뒤 안철수 같은 사람과 3차 경선을 하면 국민의 귀와 눈이 쏠릴 것”이라며 “우리는 체육관에서 박수 치고 끝나면 경선은 쉽지만 본선에서는 우려스러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내) 지지도가 꼴찌인 것을 모르고 출마하겠는가”라며 “모든 신념을 걸고 추구하는 국가적 가치로 승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