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복표 어떻게 운영하나…]

중앙일보

입력

체육진흥투표권은 경기의 승패나 점수 등 결과를 알아맞힌 사람에게 상금을 주는 스포츠 게임으로 유럽에서는 오래전부터 활성화됐다. 월드컵 공동 개최국인 일본도 지난달부터 시범 발매에 들어갔다.

사업의 목표는 체육에 대한 관심 고조와 2002년 월드컵 재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복표사업의 원리는 미리 돈을 내고 투표권을 산 사람이 투표권에 앞으로 벌어질 경기의 예상 승패나 스코어를 기입해 등록하고 경기가 끝난 뒤 예상이 적중하면 일정 비율의 환급을 받는 것이다.

연간 90회 정도 발매하는 투표권 한장의 가격은 1천원(1인당 구매한도 10만원)이며, 이르면 내년 9월부터 판매한다.

시행 첫해에는 2천6백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체육투표권사업의 수익금 중 75%는 월드컵조직위와 경기장 건설, 국민체육진흥기금, 기타 문화사업 등에 지원되고 나머지 25%는 운영을 맡는 위탁사업자의 몫이다.

이에 따라 위탁사업자로 선정된 타이거풀스는 투표권 발매가 본 궤도에 오르는 3년 뒤부터 예상되는 연간 5천억원의 매출액 중 25%인 1천2백50억원을 나눠 받을 것으로 보인다.

타이거풀스가 경쟁업체인 한국전자컨소시엄을 물리친 것은 체육복표 선진국인 영국의 기술을 일찌감치 받아들여 준비를 충분히 한 점을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사업의 성패는 팬들이 투표권을 손쉽게 살 수 있어야 하고, 예상 승패나 스코어를 사업자의 중앙컴퓨터에 등록하도록 전국에 온라인망을 얼마나 충분히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래서 사업자는 주유소.편의점.식당.경기장.터미널.역 등 전국 1만여곳 이상에 단말기를 설치할 수 있는 경제력과 기술, 운용능력을 갖춰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