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나 홀로 가구 400만 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나 홀로 가구’가 400만을 넘어섰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인구·가구 구조와 주거특성 변화’에 따르면 1인 가구는 1995년 164만2000가구에서 2010년 414만2000가구로 늘었다. 4인 가구(389만8000)를 제치고 가구 유형 2위로 올라섰다. 1995~2010년 1인 가구는 250만 가구, 2인 가구는 202만 가구가 늘어 모두 452만 가구가 불어났다. 이는 같은 기간 늘어난 가구 수(438만)보다 많다. 이 때문에 한국 사회의 주된 가구 유형이 3·4인 가구에서 1·2인 가구로 달라졌다. 95년엔 4인 가구가 31.7%로 가장 많았고, 3인(20.3%), 2인(16.9%), 5인(12.9%) 순이었다.

 결혼을 하지 않거나 이혼율이 높아지고 혼자 사는 노인이 늘어난 탓에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율은 95년 77.6%에서 2010년 66.6%로 감소했다. 1인 가구가 된 사연도 많이 달라졌다. 95년에는 저연령대에서 고연령대로 가면서 미혼-유배우-사별을 이유로 1인 가구가 된 이들이 많았다. 2010년엔 이 패턴이 미혼-이혼-사별로 바뀌었다. 통계청 동향분석실 최은영 사무관은 “배우자가 있는데도 1인 가구인 경우 ‘기러기 아빠’인 경우가 많았다”며 “하지만 요즘은 배우자가 있는 1인 가구보다 이혼에 의한 1인 가구가 더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95년에는 40대의 경우 배우자가 있는 1인 가구가 가장 많았지만 2010년에는 40~44세 1인 가구는 미혼이, 45~49세는 이혼이 1인 가구가 된 주요 이유였다.

 2010년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부산 중구(39.6%), 경남 의령군(39.5%), 서울 관악구(38.8%)였다. 특히 미혼자인 1인 가구가 많은 곳은 서울 관악구(78.0%)였다.

 아파트 거주 가구는 늘었지만 단독주택 거주 가구는 줄었다. 85년 당시 거주 형태의 표준이었던 단독주택(81.9%)은 2010년 39.6%로 반 토막 났다. 같은 기간 아파트 거주 가구는 9.0%에서 47.1%로 크게 늘었다. 요즘 인기를 끄는 오피스텔은 2010년 전체 거주 23만 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15만 가구(65.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