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출사 노조 반발 "총파업" 술렁

중앙일보

입력

정부의 퇴출기업 발표와 관련, 건설산업노조연맹(위원장 이용식)이 총파업을 주장하는 등 노동계의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퇴출기업 근로자들의 이런 움직임이 한국노총.민주노총의 근로시간 단축 및 공공.금융부문 구조조정 저지투쟁과 상승작용을 일으킬 경우 노.정간 갈등이 심화할 수도 있다.

◇ 건설노련 총파업 주장=민주노총 산하 건설노련은 6일 서울 대림동 연맹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건설사 퇴출 발표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오는 29일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 고 밝혔다.

노련은 "정부의 11개 건설회사 퇴출 결정으로 6천6백여 협력업체가 도산하고 18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하며, 공사 중단과 대외신인도 추락이 불가피하게 됐다" 고 주장했다.

파업에는 현대.동아.우성.신화건설 등 퇴출 대상 7개사 노조가 참가 의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파업이 강행될 경우 경부고속철도.지하철5호선 공사 등 2백여곳의 공사와 5만여가구 아파트 분양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노련은 정부와 채권단을 상대로 법적대응도 병행키로 했다.

◇ 양 노총 가세=양 노총은 정부의 11.3조치에 따른 대책을 마련 중이다.

한국노총은 이미 "근로시간 단축과 비정규직 보호 제도화 등이 11일까지 일괄 타결되지 못할 경우 노사정위에서 탈퇴하겠다" 고 배수진을 쳐놓고 있다.

한국노총은 7일 구조조정에 항의하는 유인물 10만장을 전국 시.도지역본부를 통해 배포할 예정이다. 오는 19일 서울 여의도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한다.

민주노총도 12일 서울 동숭동 대학로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열며 29일까지 공공부문 구조조정 등과 관련한 총파업 찬반투표를 완료토록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