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준 펀드' 정·관계 차명 가입설

중앙일보

입력

한국디지탈라인 정현준(鄭炫埈.32)사장이 주가 조작을 위해 조성한 사설 펀드에 정.관계 인사 다수가 가입한 것으로 알려져 '투자자 내역' 이 이번 사건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鄭사장이 평창정보통신 등에 대한 주식투자를 위해 조성한 사설펀드에는 벤처기업 관계자와 사채업자 뿐만 아니라 유력 정치인과 공무원들이 대거 대거 가입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펀드 규모도 지금까지 알려진 50억~70억원보다 훨씬 큰 2백억원대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이미 지난 8월부터 鄭사장의 사설펀드 조성 및 이를 이용한 주가조작 혐의를 포착, 수사를 벌여왔으며 대부분의 혐의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조사 결과 鄭사장은 올들어 주식시장의 폭락과 함께 자신이 운영하는 회사의 주가가 급락하자 사설펀드를 조성해 지난 2월과 6월 2차례 주가를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鄭씨의 폭로 이후 검찰은 특히 이 펀드를 투자자금 조성 외에 방패막이가 돼줄 정.관계 인사의 '재테크' 용으로 활용했을 지에 주목하고 있다.

뇌물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전 금융감독원 비은행검사국장 장내찬(張來燦)씨도 바로 이 펀드에 1억원을 가입했다.

이 때문에 금융감독원내 다른 간부.직원들도 이 사설펀드의 리스트에 포함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검찰은 이 펀드에 가입한 총 4백73명 가운데 상당부분은 가명 또는 차명을 이용한 정.관계 유력인사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을 것으로 보고, 일단 명단확인 및 개인별 투자금액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 한 관계자는 "鄭사장이 동방.대신 등 두 신용금고에서 6백37억원의 불법대출을 했을 경우 이는 주가폭락으로 자신이 운용하던 사설펀드의 투자가 사실상 실패하자 펀드 투자자들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고 밝혔다.

모 자산운용사 대표는 "증시의 실력자들은 보통 자신들의 친구나 평소 챙겨야 할 사람들을 중심으로 사설펀드를 운용하는 경우가 많다" 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 경우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급적 보수적 투자를 하는 것이 원칙이나 鄭사장의 경우는 이들 펀드를 주가조작용으로 활용하면서 일이 더욱 꼬였을 가능성이 크다" 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