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한 정보통신인력 매년 1만명 배출"

중앙일보

입력

"북한은 지난 86년부터 99년까지 매년 약1만명의 정보통신기술 인력을 배출하고 있으나 10%만 전문분야에 취직하고 있으므로, 남한 벤처기업은 9만여명에 달하는 값싼 북한 정보통신 인력을 이용하는 합작분야가 유망하다"

지난 총선때 정보통신분야 전문가로 민주당에 입당, 전국구 의원이 된후에도 줄곧 이 분야에 전념하고 있는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소속 허운나 의원은 20일 국정감사 정책자료로 내놓은 `남북 정보통신교류 활성화방안 연구''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북한의 `잘 나가는'' 대졸 일류급 프로그래머 월급은 북한돈으로 2천원(한국돈으로 1만4천원), 최하위 프로그래머는 150원이지만 "이들은 재주가 뛰어나고 이론적 기초가 갖춰져 있기때문에 한달정도면 프로젝트 흐름을 터득할 것"이라는 게 허 의원의 분석이다.

허 의원은 또 "이들 인력을 이용한 대북 사업을 위해선 북한 정무원, 노동행정부나 중앙당 38, 39호실 산하 무역회사들과 협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허 의원이 이런 정책제안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이 이 분야 전문가일 뿐 아니라 의원 당선후 `국회 사이버정보문화연구회''를 구성, 매주 정보통신기술 분야 세미나와 토론회 등을 가지면서 북한을 왕래하는 기업가 등 이 분야 다른 전문가들로부터 북한의 정보통신기술 동향에 관한 최신정보를 입수한 덕분.

허 의원은 "그동안 국내에 나와있는 자료를 보니, 오래됐거나 아예 틀린 것들도 많았다"며 "북한 왕래 전문가와 기업인외에 `밝힐 수 없는 다른 출처'' 등을 통해 북한 정보통신기술 동향에 대한 최신판 정보를 모았다"고 밝혔다.

이 자료집에는 북한에선 최근 `김정숙사범대''가 소프트웨어 개발부문 인력양성의 새명문으로 떠올라 지난 수년간 2천4백여건의 교육용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했고 우체국은 전국 약 1천500개로, 평양시내의 경우 배달에 3일, 기타지역은 7-10일 걸리며 지난 90년대초 시작된 식량난으로 전국 각지의 농촌으로 식량을 찾아나설 때 식량시세 및 식량과 교환할 수 있는 생활필수품에 대한 정보 필요성이 폭주,95년부터 개인전화가 부분적으로 허용됐다는 등의 `소프트''한 정보도 많다.

북한에선 평양과 지방대도시를 중심으로 가정집에도 전화기를 놓는 붐이 일고 있으나 통화량 제한으로 사업상 필요한 사람들에게만 설치해주자 일반 가정들이 전화국 간부에게 100달러 정도의 뇌물을 주고 전화를 놓기도 하며, 북한 당국은 95년 평양과 함흥간 300㎞의 광케이블 통신망을 최초로 설치하는 등 광케이블 확대공사를 추진중이라는 정보도 소개하고 있다.

또 북한에도 이동통신이 있으나 가입회선수는 남한의 2천7백27만4천479선의 5만4천여분의 1인 500선에 불과하고, 인터넷도 기술적으론 가능하지만 체제불안 요소 때문에 인터넷의 활용을 막고 있다고 허 의원은 밝혔다.

허 의원은 "북한은 국가는 가난하지만 우수한 정보통신인력이 풍부해 정보통신분야에서 `제2의 인도''에 비유되기도 한다"며 "북한에서 귀순, 최근 `평양컨설팅''을 차린 방영철 사장에 의하면 북한의 소프트웨어 개발수준이 군사분야 경우 세계적인 수준일 정도로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허 의원의 자료집엔 이러한 일반적인 화제성 정보외에 북한 정보통신기술 동향에 대한 `하드''한 자료도 풍부하게 실려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