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등 기술 개발에 정부 지원 확대

중앙일보

입력

부품.소재.자동화기술 개발에 정부의 지원이 대폭 확대된다.

산업자원부는 4일 국내 산업의 취약점으로 지적되는 부품.소재기술 등 각종 산업기술을 육성하는 차원에서 '산업기반기술 개발사업' 의 예산을 올해 2천8백억원에서 34%가 늘어난 3천7백50억원으로 책정했다고 밝혔다.

산업기반기술 개발사업은 크게 공통 핵심기술개발, 부품.소재기술개발, 중기거점 기술개발, 차세대 신기술개발, 국제공통 연구개발사업 등으로 구분된다.

대기업의 경우는 연구개발비의 40%까지, 중소기업은 66%까지(벤처기업지정을 받았을 경우는 75%까지)를 정부가 지원할 방침이다.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은 당초 계획된 기간 내 기술개발을 완료할 경우 지원금의 30%만 3년에 걸쳐 갚으면 된다.

대기업은 50%를 5년간 분할 상환한다. 기술개발에 따른 특허 등 산업재산권은 물론 기업의 몫으로 남는다.

반대로 기술개발에 실패했을 경우는 원인 등을 전문가들이 평가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전액 또는 절반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기술개발을 등한시했거나 악용했다고 판단될 경우는 전액을 상환해야 한다.

지원 대상 중 공통 핵심기술개발 분야는 산업현장의 애로를 해소하거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 사업 가운데 개발비 1~2억원 규모로 2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것을 지칭한다.

중기거점기술은 예컨대 공장자동화처럼 10억~20억원 규모로 평균 5년 정도의 개발기간을 필요로 하는 분야다.

자금지원 신청은 내년초 산업기술평가원을 통해 분야별로 받게 된다.

산자부 관계자는 "공통 핵심기술분야에 약 2백건 정도, 중기거점기술에 약 5~7건, 부품.소재기술개발에 50건 등 총 3백건정도의 개발산업을 신규로 지원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