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활용강좌]윈도ME upgrade가치 있는가? -1

중앙일보

입력

[새롭게 선보인 가정용 운영체제 윈도ME]

오랜 시간을 기다려온 윈도ME가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윈도ME는 지난 9월 15일 공식 발표되었고, 국내에서도 다양한 컴퓨터 제조업체들에 의해 PC에 탑재되어 판매되기 시작했다. 또 각종 소프트웨어 가게에서도 판매를 시작했다. 윈도98 이후 하드웨어는 급격히 발전해 가고 있는데, 이를 지원해줄 운영체제는 너무나 늦게 나온다고 불평해 오던 사람들도 많다. 오랜 기다림 만큼 기대감도 높을 텐데 과연 새롭게 우리 앞에 나타난 윈도ME는 얼마만큼 우리의 기대를 만족 시켜 줄 수 있을까? 지금부터 윈도ME의 새로운 기능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과연 지금 내 PC를 비싼 돈을 투자하여 윈도ME로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내년에 출시 예정인 휘슬러

윈도ME의 계보

윈도ME는 윈도98의 다음 버전이다. 따라서 내부코드가 윈도98과 같은 윈도9X 커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윈도9X커널은 윈도95와 윈도98에서 사용되던 커널로 그 바닥에는 도스가 깔려 있다. 즉, 처음 부팅할 때는 DOS가 사용되다가 윈도우로 넘어가 부팅이 된다. 윈도95에서는 도스의 도움을 많이 받았지만, 윈도98에서는 DOS의 영향력이 줄어들다가 윈도ME에 와서는 DOS는 무늬만 남은 형태가 되었다.

이에 비해 윈도NT는 처음부터 DOS가 아닌 윈도기반의 NT커널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그래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는 윈도98과 윈도ME에 해당하는 윈도9X계열과 윈도NT와 윈도2000이 속하는 윈도NT계열이 있다. 이 두 계열은 근본이 다르기 때문에 호환이 잘 되지 않아 따로따로 개발해야 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두 계열을 따로따로 개발하는데 드는 업무 로드가 너무 커 두 라인을 하나로 합치려 하고 있다. 이 두 라인 중 진보된 형태가 윈도NT커널 기반이고 따라서 윈도NT쪽으로 윈도9X계열을 집어넣으려고 하는 것이다.

두 OS를 통합하려는 시도는 이전부터 해왔는데,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윈도2000에서 실패했다. 윈도ME도 그 결과 나온 미운 오리새끼정도의 의미를 갖고 있다. 윈도2000에서 통합하려던 노력의 실패는 다음 버전인 윈도2001 휘슬러로 넘어갔고, 이번에는 윈도9X커널을 쓴 마지막 버전인 윈도ME가 나왔다. 윈도ME가 윈도9X 커널을 사용하고 있지만, 외부 형태를 보면 윈도2000과 너무나 닮았다. 내부에도 윈도2000 것을 가져온 것이 많다. 일단 통합은 다음 버전인 휘슬러에서 하더라도 최대한 윈도2000과 비슷하게 만들어 다음 버전에서 완전히 윈도2000 스타일로 가더라도 소비자들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 시켜야 되기 때문에 이렇게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휘슬러 개발 버전의 모습

윈도ME의 디자인 목표

윈도ME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별로 좋지 못하다. 외국의 유명 사이트나 잡지 등에서 실시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기대 이하의 성능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MS의 입장으로 보면 상당히 측은한 마음이 든다. 열심히 힘들여 개발했는데 좋은 소리는 별로 없고 혹평만 자랑하듯 해댄다고…

이런 평가들을 MS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선전이나 광고에서도 매우 빨라졌다, 획기적인 성능을 발휘한로 홈네트워킹이 인기있을 것으로 보인다. 집에 컴퓨터가 몇 대씩 되는 집도 많고, 앞으로 나올 가전제품에는 UPNP(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라는 네트워킹 기능이 들어가 있는데 이런 것들을 간편하게 엮어줄 수 있는 기능이 윈도ME에 들어가 있다. 홈네트워크 마법사와 UPNP의 지원이다.

온라인 경험 : 온라인 경험이란 인터넷을 말한다. 인터넷에는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스타크래프트나 디아블로2 같은 온라인 게임도 포함된다. 또 인터넷을 통해 MP3를 감상한다든지,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로 동영상을 감상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런 온라인을 통한 멀티미디어적인 처리 부분에서 윈도ME는 상당히 매력적이다.

MS에서 주장하는 부분만 살펴보면 윈도ME는 정말 상당히 매력적이고 업그레이드 할만한 물건이다. 그럼 이제부터는 윈도ME의 새로운 기능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앞의 4가지 특징에 맞게 순서대로 살펴보자.

이직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