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분야별 정보화촉진 시행계획 확정

중앙일보

입력

정부는 20일 이한동(李漢東) 국무총리 주재로 제13차 정보화추진위원회를 열어 내년도 각 부처가 추진할 22개 분야별 2001년도 정보화촉진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이날 확정된 2001년도 정보화촉진시행계획은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인 `사이버 코리아 21''의 중점 추진과제와 대통령 주재 정보화전략회의에서 확정된 정보격차 해소와 정보역기능 방지대책 등을 반영, 각 부처에서 수립한 것이다.

2001년 분야별 정보화촉진시행계획에 포함된 예산은 총 1조7천426억원(국비 1조2천992억원, 지방비 3천418억원, 민자 1천16억원)이며 이는 국비를 기준으로 2000년 대비 17%가 증가한 것이다.

2001년도 정보화촉진시행계획의 분야별 주요내용은 우선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정보화 교육 지원, 원격영상 특수 교육시스템을 확대.운영하고 교육정보화 인프라 활용도 제고를 위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보급이 확대 추진된다.

또한 사회복지 및 자원봉사 분야 지원의 종합적.체계적 관리를 위한 사회복지자원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의약품 물류비용 절감 및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의약품 유통정보시스템도 추진된다.

아울러 상.하수도, 재난.재해, 민방위 등 11개 민원업무의 정보공동활용을 위한 시.군.구 행정정보화 2단계 사업이 착수되고 호적 등.초본 및 인감증명 발급 전국 온라인 서비스를 2001년 하반기부터 개시된다.

이와함께 정부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건설 CALS/EC(전자상거래), 조달EDI(전자문서교환), 관세행정정보화, 국세통합정보시스템 등의 확충이 추진되며 지식정보 활용 극대화를 위한 지식관리시스템(KMS)도 구축된다.

이날 회의는 동시에 법제분야의 정보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법령정보화 추진 분과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으며 99년도 주요 정보화사업 평가결과와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보화 수준평가 결과를 담은 `2000년도 국가정보화평가 결과안''도 보고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