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지역 어떻게 개발하나]

중앙일보

입력

해제 대상이 되는 그린벨트내 집단 취락지의 유형은 제각각이다.

은평구 진관내.외동 처럼 한개 동(洞) 전체에 시가지가 흩어진 경우가 있는가 하면 동네가 한 곳에 몰린 곳도 있다.

서울시는 각기 다른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선 계획, 후 해제' 원칙을 엄격히 적용, 앞으로 있을 마구잡이 개발을 원천봉쇄할 방침이다.

우선 넓은 지역에 군데군데 취락지가 조성되고 나내지와 농경지가 혼재하고 있는 지역의 거주지는 주거환경개선 사업을 벌이거나 지구단위계획 등을 시행해 중저밀도의 환경친화 주거단지로 개발할 예정이다.

또 강남지역 그린벨트내 취락지는 필지 규모가 크고 주거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지역임을 감안, 건축물 높이와 건폐율.용적률 제한을 통해 기존의 쾌적한 주거 환경을 유지하고 지역내 부족한 기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밖에 강동구 하일동 등과 같이 다른 지역 주민들의 집단 이주로 생겨난 취락지 대부분은 주거환경이 열악한 불량주택 밀집지여서 공영개발 방식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기성 시가지와 이어져 있는 지역에 양호한 환경의 이주 단지를 조성, 주민을 입주시키고 기존의 주택 부지는 공원 등으로 만들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린벨트내 취락의 형태와 조성 경위, 주거 환경이 다르므로 해제와 동시에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정비 방안을 마련하겠다" 며 "취락지가 분산된 지역의 공지(空地)들은 공원.녹지로 지정해 개발을 막을 계획" 이라고 말했다.

김석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