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조건, 작년 2분기이후 5분기째 악화

중앙일보

입력

2분기중 유가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수입단가가 수출단가보다 더 빠른 속도로 오르면서 교역조건이 지난해 2.4분기이후 5분기째 악화돼온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4분기중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동향'에 따르면 지난 95년(100)을 무역지수의 기준년으로 해 산출한 순상품 교역조건지수는 73.5로 작년 같은 기간(83.9)보다 12.4% 하락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한 순상품 교역조건 지수하락률은 99년 2.4분기 마이너스 2.0%, 3.4분기 마이너스 3.9%, 4.4분기 마이너스 5.0%, 올해 1.4분기 마이너스 15.8% 등을 나타냈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2.4분기중 순상품교역조건 지수가 전분기(72.4)에 비해 소폭 상승했지만 이는 계절적 요인 등이 작용한 것이기 때문에 아무 의미가 없다"며 "문제는 전년도와 비교한 지수가 5분기째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가운데 올들어서는 더
욱 심화되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2.4분기중 수출단가지수와 수입단가지수는 각각 61.7과 83.9로 작년동기보다 3.7%와 18.3% 상승했으나 수입단가지수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순상품 교역조건지수는 (수출단가지수/수입단가지수) ×100으로 산출하며 수출1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수입량을 의미한다.

전년동기 대비 수출단가 등락률은 99년 2.4분기 마이너스 7.3%, 3.4분기 0.3%, 4.4분기 8.0%, 올해 1.4분기 3.7%, 2.4분기 3.7%였고 수입단가는 98년 4.4분기 마이너스 18.4%에서 99년 1.4분기 마이너스 13.1%, 2.4분기 마이너스 5.5%로 하락률이
둔화되다가 3.4분기 4.4%의 상승세로 돌아선 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 수출물량과 수입물량은 작년동기보다 18.9%, 19.4% 증가해 98년 2.4분기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전분기(27.4%, 27.0%)에 비해서는 크게 둔화됐다.

이에 따라 수출금액이 77억7천만달러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수입금액은 무려 110억1천만달러나 증가했다.

한편 우리나라가 수출해서 번 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나타내는 소득교역 조건지수는 그나마 수출물량의 증가에 힘입어 작년동기 155.6에서 162.7로 4.2%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서울=연합뉴스) 전준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