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콘텐츠' 유료화 수익모델로 떠오른다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 콘텐츠'' 는 무료라는 등식이 서서히 깨지고 있다. 최근 닷컴위기론으로 수익모델 개발이 인터넷기업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콘텐츠를 유료화하는 업체가 하나둘씩 늘어나고 있다. 더욱이 교육과 의료 분야 등 오프라인에 뒤지지 않는 콘텐츠를 가진 업체를 중심으로 유료화 서비스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인터넷 채팅 전문업체인 하늘사랑(대표 나종민)은 인터넷 입시 전문 교육사업자인 입시뱅크와 손잡고 1일부터 교육 콘텐츠를 전면 유료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제휴로 하늘사랑은 스카이러브 사이트 주요 메뉴에 입시뱅크 코너를 마련해 모의고사, 스타강사의 수능고득점 비법 특강, 실전 테스트 등 주요 강좌당 1만원 정도를 받을 계획이다.

터보테크(대표 장흥순)가 운영하는 테크빌닷컴도 오는 9월부터 콘텐츠를 유료화하기로 결정하고 사이트를 전면 개편했다. 전문기술 강좌를 비롯해 포토숍, 인터넷 전자상거래 과정 등을 크게 보강했으며 서울대학교 EC연구소 등 오프라인 교육업체와 협력해 20, 30대 초반의 인터넷전문가로 강사진을 새로 구성했다.

이달 중순부터 상용서비스에 나서는 인터넷 이성 매칭업체인 세이큐피드(대표 현용준)도 오프라인사업과 연계해 유료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세이큐피드는 기존 업체와 비교해 콘텐츠에서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 월 5만원 수준에서 유료 회원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증권정보 제공업체 팍스넷(대표 박창기)도 ''팍스시그널'' 이란 신규 서비스를 개발해 이를 유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이달말부터 시작할 예정인 이 서비스는 회원들에게 고급 증시정보와 함께 종목별 매도, 매수시점을 알려주게 된다.

새롬기술(대표 오상수)도 수익모델의 일환으로 다이얼패드와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이달부터 유료화하기로 정하고 요금체계를 준비중이다. 새롬은 우선 기업을 대상으로 유료서비스에 나서며 점차 일반회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밖에 인터넷경매업체인 옥션도 다른 경매업체가 유료화를 망설이는 데 반해 최근 거래액의 1.5%에 이르던 경매 수수료를 2~3%로 늘려 나가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