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소식에 따른 경제단체 반응

중앙일보

입력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에 주가는 출렁였고 환율 또한 불안한 모습을 보이자 각 경제단체는 즉각적인 성명을 내고 경제상황이 안정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북한의 급변 사태에 정부가 안보에 이상이 없도록 잘 대응해주길 바란다”며 “김 위원장 사망의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미치지 않도록 정부와 경제계가 함께 대응해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또 “코스피 등 금융시장이 이번 사태에 동요되지 않도록 정상적인 경영활동과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상의는 “우리 정부와 군은 안보태세를 더욱 확고히 해 북한의 어떠한 급변사태에도 철저히 대비하는 한편 한반도 평화와 7000만 민족의 안전을 위해 미국ㆍ중국 등 주변국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또한 정부는 이번 사태가 북한리스크로 이어져 우리 경제와 기업에 미치는 악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만전의 노력을 기울이면서 동시에 우리 국민과 기업도 불확실성에 흔들림없이 정부를 신뢰하고 확고한 의지와 냉철한 자세를 가지고 본연의 역할을 다해 주시기를 바란다”는 논평을 발표했다.

경총 또한 “우리 경영계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이라는 급변 사태에 즈음하여 우리 정치 경제 사회 전분야에서 혼란과 동요에 빠지지 않기를 바란다”며 “아울러 우리 경영계는 산업현장의 혼란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어느 기업보다 북한 현지 반응과 정부의 대응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기업들이 개성공단 입주 업체들이다. 개성공단기업협회 관계자는 “정치적인 내용은 현지와 통화를 일절 못하도록 돼 있어 아직까지 동향 파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입주업체들은 우리 정부로부터 나오는 정보와 대응 방침을 파악한 뒤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라고 전했다.

개성공단에서는 현재 시계업체 로만손, 의류업체 신원 등 123개 국내 기업이 생산 활동을 하고 있다. 섬유업종이 대부분이며 기계ㆍ금속 및 전기전자 업체들이 입주했다. 지난 9월 말 현재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는 4만8242명으로 올 들어 1958명이 증가했다. 2005년 1500만 달러에 불과했던 개성공단 생산액은 지난해 3억2000만달러를 넘었고, 올해는 10월까지 생산액이 3억3000만 달러에 달했다.

권혁주ㆍ심재우·이가영 기자 jwsh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