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만 56조 … 올 가계빚 부담 사상 최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올 한 해 가계가 이자로 낸 돈이 5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국민총소득(1173조원)의 4.8%에 달한다. 가계는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를 줄여 내수가 가라앉는 상황이 이어졌다.

 금융기관별 대출액에 기관별 평균 대출금리를 적용해 추산한 결과 27일 현재 올 가계대출 이자는 모두 56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이자부담이 50조원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이자가 크게 늘어난 것은 대출이 늘어난 데다 대출금리까지 상승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797조4000억원이었던 가계대출은 올해 9월 말 840조9000억원으로 늘었다. 은행이 431조5000억원에서 449조6000억원으로 18조원이 많아져 가장 크게 증가했다.

 대출금리도 크게 뛰었다. 지난해 말 연 5.35%였던 은행 대출금리는 올해 9월 말 5.86%에 달한다. 올해 가계가 은행에 낸 이자는 지난해보다 모두 3조3000억원이 늘었다. 카드·캐피털사에 낸 이자도 7조4000억원으로 농협(6조4000억원)보다 많았다. 카드·캐피털사의 대출잔액(38조원)은 농협(114조원)의 3분의 1 정도지만 대출금리가 연 19.3%로 크게 높기 때문이다. 돈이 없어 제2금융권을 찾는 서민이 더 많은 이자를 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가계의 이자부담 증가는 심각한 내수 위축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소득이 늘지 않는 상황에서 원리금 상환액이 늘어나면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가계 이자부담이 커지면 소비는 당연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글로벌 경제까지 암울해 심각한 내수 부진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