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반도 개발방향 세미나] "접경지에 교류단지 조성을"

중앙일보

입력

남북한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우선 접경지역의 특성을 살려 학술.기술.물자.인적 교류를 담당할 '남북 교류협력 단지' 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남한의 최대 전력수요는 여름철(7~8월) 낮시간에 집중되나 북한은 겨울철(12~1월)밤시간이므로 양측이 비수기에 남는 전력을 서로 교환해 쓰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는 4일 오후 서울 역삼동 과학기술회관에서 '화해와 협력의 시대에 대비한 한반도 국토개발 방향' 세미나를 열었다.

중앙일보가 후원한 이날 행사는 최근 남북 정상회담의 개최로 한반도 국토자원의 효율적 활용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열린 것이어서 많은 관심을 끌었다.

경기개발연구원의 이상대 연구위원은 '접경지역의 역할과 개발 전략' 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남북 교류협력의 첫 단계로 접경지역에 '남북교류 협력단지' 를 조성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협력단지 후보지로 경기도 파주 및 강화.김포, 강원도 철원과 고성 등 네 곳을 제시하면서 투자 효율성.토지의 집약적 이용.환경훼손의 최소화를 위해 단지형으로 조성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중앙대 김정인 교수(산업경제학과)는 '북한의 에너지 문제와 남북한 경협방안' 에서 남북한 전력 수요의 특성을 고려한 상호 전력협력 가능성을 제시했다.

남한과 북한의 최대 전력수요 발생 시점이 다른 만큼 서로 전력을 제공하는 체제를 도입하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金 교수는 "우선적으로 한국전력의 자체 예비전력으로 북한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교류용량은 30만㎾ 수준이 될 것" 이라며 "전력 교류를 위한 준비기간은 24개월 정도 소요될 것" 이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 1백만~2백만㎾ 수준의 대규모 전력을 교류하려면 휴전선 인근지역에 50만~1백만㎾ 규모의 발전소를 새로 건설하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인천대 최계운 교수(토목공학과)는 '북한의 수자원 이용실태와 남.북한 공동개발 방안' 에서 "접경지역에 기후.강수량.수위.유량 등을 측정하는 수문(水文)관측소를 설치해 한강.임진강 등 수계별로 자료집을 발간하는 한편, 남.북한 공동으로 생태계 및 하천특성을 조사하고, 금강산댐과 평화의댐의 연계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게 우선 필요하다" 고 밝혔다.

대진대 김현수 교수(도시공학과)는 '개방 개혁에 따른 북한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발표를 통해 "남한의 국토와 도시가 계획 없는 개발로 많은 문제점을 지닌 만큼 개발 여지가 많은 북한에선 '선계획 후개발' 원칙을 고수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차진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