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총외채 감소불구 단기외채비중 25개월내 최고

중앙일보

입력

총외채 규모는 줄어 들었으나 만기 1년 이하의 단기외채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1년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중.장기 외채와 단기외채를 합하면 외환보유고의 7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경제부가 5일 발표한 '4월말 현재 총대외지불부담 현황' 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외채 규모는 3월말보다 28억달러 줄어든 1천4백4억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그러나 단기외채는 3월말보다 28억달러 증가한 4백62억달러로 계산돼 총외채 가운데 단기외채의 비중이 32.9%까지 치솟았다. 이는 1998년 3월의 34.7% 이후 25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단기외채가 이처럼 늘어난 것은 경기회복으로 수입이 늘어나면서 민간기업의 무역신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반면 장기외채는 3월말보다 56억달러 줄어든 9백42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기관들이 지난해 고금리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단기외채를 중장기로 전환했다가 이 가운데 67억6천만달러를 조기 상환했기 때문이다.

더 경계해야 할 점은 1년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중.장기 외채와 단기외채를 포함한 유동외채가 외환보유고의 65~70%에 달한다는 것이다. 4월말 현재 외환보유고가 8백46억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유동외채 규모는 5백50억~6백억달러인 것으로 추정된다.

◇ 단기외채, 왜 느나 = 이명규 재경부 외환제도과장은 "대외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주요지표인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54.6%로 아직 안정권인 60%를 밑돌고 있다" 고 밝혔다.

李과장은 그러나 "총외채가 늘고 경상수지 흑자가 줄어들면 늘어나는 단기외채 때문에 대외신용도가 나빠질 수 있다" 며 "대외거래 증가로 무역신용도 계속 늘어날 전망인만큼 예방적인 차원에서 단기외채 억제 대책을 마련하겠다" 고 말했다.

◇ 정부 대책은 = 재경부는 이달중 금융기관의 만기 3개월이내 외화부채 대비 외화자산 비중인 외화유동성 비율을 현행 70%에서 80%수준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금융감독위원회와 협의중이다.

또 금융기관이 수입업체의 단기 외상 수입에 지급보증을 서주는 무역신용의 20%를 금융기관의 외화부채에 포함시킬 방침이다.

그러나 이 가운데 무역신용을 억제하는 정책은 실물거래와 연계된 기업의 경상거래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왕윤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금융실장은 "기업의 단기 무역신용이 늘어나는 것은 신인도가 낮아 해외서 장기자금을 빌릴 수 없고, 국내 차입도 어렵기 때문" 이라며 "금융 구조조정을 빨리 끝내 기업들이 국내서 돈을 쉽게 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