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리콜 급증세…국산차 품질 불신 증폭

중앙일보

입력

현대.기아 등 자동차 업체들의 리콜이 잦아지고 있다.

국산차의 품질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볼멘 소리도 나온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은 "리콜 건수가 늘고 있는 것은 리콜을 자발적이고 공개적인 방식으로 하도록 방식을 바꿨기 때문" 이라며 "리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점차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고 주장했다.

소비자들은 "리콜이 너무 잦아 품질에 대한 불신이 생긴다" 고 목청을 높였다.

그러자 신제품을 내놓기 전에 담당직원들에게 '품질 이상에 책임을 진다' 는 각서를 쓰도록 한 회사도 있다. 소비자들의 불만 확산을 막으려는 노력이다.

리콜이란 상품 결함으로 소비자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제조업체 스스로 또는 정부의 명령에 의해 결함 상품을 수거해 교환.수리해주는 제도.

◇ 실태〓올들어 현대 트라제XG가 불량점화코일을 교체해 주는 등 3차례 자발적 리콜을 실시했다.

베르나는 와이퍼 연결부분의 그리스 부족 현상을 무상수리해 주는 등 리콜을 두번 했다.

EF쏘나타는 엔진오일이 새어 나와 리콜했다.

기아차는 카니발에 타이어 이상 마모 현상이 나타나 자발적 리콜을 하는 등 올들어 자동차업계 전체가 모두 7차례 리콜을 했다.

지난해엔 현대 5건, 기아 3건 등 모두 8차례였다. 1997년에는 2건, 98년에는 5건이었다. 리콜이 갈수록 늘고 있고, 올들어 특히 급증했다.

소비자들의 자동차 품질에 대한 불만도 높다. 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지난해 소보원에 접수된 자동차 피해구제 건수 1천1백10건 가운데 품질에 대한 불만이 9백20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나머지는 차량구입 계약 등에 관한 것이었다.

품질 불만을 유형별로 보면 엔진과 차체의 소음.진동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았고(27.9%), 주행 중 시동꺼짐(18.0%) 등의 순이었다.

◇ 리콜 절차〓자동차업체들이 리콜 대상 차량의 고객에게 서면으로 개별통보한다.

통상 리콜의 대상이 수천대가 넘기 때문에 업체의 통보는 형식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사하거나 소유권이 바뀐 뒤 주소변경을 신청하지 않으면 개별통지가 어렵다. 자신의 차가 리콜 대상인지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

리콜 대상이면 직영 애프터서비스(A/S)사업소나 지정정비공장(3급 부분 정비업체 제외)을 찾으면 된다(문의 현대차 080-600-6000, 기아차 080-200-2000).

리콜 기간은 대부분 1년이어서 시간 여유는 충분하지만 기한이 지나도 무상수리가 가능하다.

정비소는 전화로 예약하고 찾아가는 것이 좋다.

◇ 업계 대응〓현대차 이충구 연구개발부문 사장은 "과거엔 리콜을 비공개적으로 했으나 최근에는 공개적으로 하고 있어 건수가 늘고 있는 것" 이라며 "트라제XG의 경우 일부 부품업체에 문제가 있었고, 에쿠스는 인력조정과 파업으로 작업협력체계에 차질이 생긴 탓" 이라고 해명했다.

자동차업계는 앞으로도 차량에 문제가 생기면 고객 서비스 차원에서 리콜을 적극 실시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아반떼XD의 출시 직전 정몽구 회장의 지시로 생산.연구개발.마케팅 부문의 과장급 이상 직원 모두가 "신차 품질에 문제가 생기면 책임을 진다" 는 각서를 쓰는 등 품질하자 줄이기에 나섰다.

또 양산 개시와 함께 시판에 들어가던 관례를 깨고 양산개시 이후 1~2개월간의 검증단계를 거치도록 해 당초 3월초 출시예정이었던 아반떼 XD는 지난 18일 출시했으며 지난달 중순 출시한 1t 트럭 리베로도 검증 단계를 거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