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老眼), 모두 다 같은 노안 아니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많은 사람들이 ‘노안’하면 떠올리는 일반적인 증상은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이다. 먼 것에 비해 가까운 것이 더 흐려진다. 이 때문에 모두 똑같은 노안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각막의 형태와 수정체의 굴절력에 따라 일반적인 근시와 원시 등처럼 노안 또한 정시성 노안, 근시성 노안, 원시성 노안, 난시성 노안으로 나눌 수 있다. 수정체의 굴절력 차이에 따른 노안별 특징과 증상은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이종호노안연구소와 씨니어 글로벌 헤드 R&D센터를 만들어 노안 시력교정 연구에 힘 써온 서울밝은세상안과 이종호 원장의 도움말로 증상별 노안 특징을 살펴봤다.

정시성 노안
정시성 노안은 1.0 정도의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이 45세를 전후해 가까운 물체가 잘 안 보이는 경우다. 평소 눈이 좋다고 자부했으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점점 가까운 물체를 보기 힘들게 된다. 특히 핸드폰이나 책의 작은 글씨가 뿌옇게 보이면서 초점이 잘 맞지 않는다. 밤에는 증상이 심해져 운전할 때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증세가 심해지면 돋보기를 사용해야 한다.

원시성 노안
원시성 노안은 원래 원시였던 눈에 노안이 온 경우다. 원시는 평소 다른 사람들보다 시력이 좋기 때문에 노안의 증상을 빨리 알아챈다. 평소 선명하게 보이던 가까운 물체가 흐릿하게 보인다. 정시보다 원시성 노안은 초점이 망막 뒤에 맺히기 때문에 초점을 앞으로 끌어오는 과정에서 눈의 통증과 두통이 동반된다. 스트레스가 심하면 앞이 뿌옇게 흐려지기도 한다. 원시 역시 돋보기가 필요하다.

근시성 노안
근시성 노안은 근시로 인해 평소 안경을 사용한다. 노안이 시작되면 책이나 신문을 읽을 때 오히려 안경을 벗어야 글씨가 잘 보인다. 안경을 썼다 벗었다 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는다. 노안이 진행되면서 시력이 자꾸 바뀌기 때문에 안경을 여러 개 사용하기도 한다.

난시성 노안
난시는 각막이 완전한 구형을 이루지 못하고 불규칙해 사물의 초점이 맞지 않는다. 따라서 먼 것과 가까운 것 모두 겹쳐 보인다. 난시성 노안은 가까운 것만 겹쳐 보인다. 사물이 여러 겹으로 보이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고개를 기울이게 된다. 두통과 만성 피로가 동반된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