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결제도 가능한 교통카드 도입

중앙일보

입력

내년부터 전주시내에서는 카드 하나로 교통수단.시설을 이용하고 물건 등도 살 수 있게 된다.
시장 규모가 커 은행들이 서로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경쟁이 치열하다.

전주시는 14일 "내년 1월부터 도입할 교통통합카드에 원래의 시내버스.택시.주차.고속도로통행 요금 납부 기능 외에 물품 결제 기능까지 추가하기로 했다" 고 밝혔다.

교통통합카드는 이미 부산.서울서 사용되고 있지만 음식점.유통업체 등에서도 쓸 수 있는 것은 전주시가 처음 추진하고 있다.

교통통합카드는 IC칩을 내장, 돈을 내고 일정 금액을 충전한 뒤 이용한 금액만큼 지워가는 일종의 전자화폐다.

시는 우선 내년에 전체 인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30여만개를 만들어 보급하기로 했다. 카드 제작비는 개당 1만원이 드는데 20%가량을 개인에게 보증금 명목으로 부담시킬 계획이다.

이 통합카드는 시장규모가 연간 택시 1천여억원, 시내버스 3백여억원 등 연 1천3백억원 이상이 될 전망이다. 상거래 결제까지 합치면 4천억~5천여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사업을 따내기 위한 금융기관들의 경쟁도 치열하다.

사업자로 지정되면 수십만명의 고객을 자연스럽게 확보할 수 있어 일반 영업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현재 전북은행과 한미은행이 가장 적극적으로 뛰고 있다.

전북은행은 전주시내에 34개의 점포망을 가지고 있고 시 금고라는 점 등을 내세워 적임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미은행은 교통통합카드를 자기들이 처음 제안했고, 카드 운용 기술력이 월등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시에 매달리고 있다.

시는 최근 두 은행으로부터 사업 계획서를 제출받아 검토 중이며, 다음달 말까지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교통통합카드가 도입되면 시민들이 편리할 뿐 아니라 운수업체 등의 경영이 투명해지고, 그 결과 각종 세금 수입도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며 "사업자는 기술력.투자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선정하겠다" 고 밝혔다.

전주 =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