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역간 격차 심화] 지방벤처 돈줄은 다 서울

중앙일보

입력

"제2의 도시요? 부산은 껍데기입니다. 9천개 제조업체중 90%가량이 매출 1백억원대 이하입니다."

"전남 순천에 있지만 대기업의 시스템 통합작업 수주 등으로 한해 매출액이 1백억원에 달합니다.
그러나 지방에 있다고 불이익을 본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곧 서울로 본사를 옮길 계획입니다."

지역간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지방 상공인들의 하소연이다. 지역간 격차가 어제 오늘 얘기는 아니다.

그러나 최근들어 디지털경제의 핵심인 인력과 정보.돈(벤처캐피탈)이 수도권과 일부 지역에만 집중되는 바람에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선 자금면에서 지방 소재 벤처기업 투자금의 상당액은 서울 돈이다. 대덕연구단지에서 파생된 대전지역 벤처기업의 경우 신규 유치자금의 99%가 서울 돈이다.

최근 증자한 C.G.H.K사에는 서울의 창업투자사와 개인으로부터 뭉칫돈이 들어왔다. 이에따라 열심히 일해서 배당금과 이자 주고나면 지역에는 남는게 없다는 위기감도 확산되는 분위기다.

중소기업들이 정보화사회를 따라잡는데 요긴하게 쓸 수 있는 기술혁신자금도 수도권에 집중 배정된다.

분배 기준이 지역내 중소기업체수이기 때문. 지난해 총 4백47억 가운데 수도권에만 2백13억원(49.3%)이 배정됐다.

인력도 문제다. 지방에서는 고급인력은 물론 기능인 구하기도 쉽지않다.

광주과기원의 올해 졸업생 1백20여명 가운데 진학 등을 제외한 취업자 60여명은 전원 서울로 갔다. 지방대 우수 졸업생의 상당수도 수도권에 취업한다.

이종현 대구테크노파크 단장은 "이런 추세라면 기존의 공단지역은 단순 생산공장으로 전락하고 중앙.지방간 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것" 이라고 진단했다.

양극화에 맞서 지역을 살리기위한 움직임도 활발하다.

대구에선 '대구.경북 디지털 밸리' 추진위원회가 지난달 구성돼 첨단기술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광주도 광(光)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지정해 광주과기원과 함께 기반조성에 애를 쓰고 있다.

전북지방중기청의 권영구 청장은 "지방기업들의 기술력을 끌어올려 디지털경제시대에 뒤쳐지지 않도록하겠다는 정책적 배려가 아쉽다" 고 지적한다.

대전〓이석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