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연구실마다 환한 불빛 … 교수들 “배움은 밤이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서울대 캠퍼스는 잠들지 않고 있었다. 굵은 빗줄기가 내리던 지난달 29일 밤부터 30일 새벽 사이, 서울 관악구 서울대 캠퍼스를 찾았다. 자연과학대 교수 연구실이 모여 있는 27동(자연과학관 9동) 3~4층은 대부분 불을 밝히고 있었다. 공대 연구실이 있는 301, 302동 역시 마찬가지였다. 연구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교수와 대학원생들이 연구와 토론에 몰두하고 있었다. 이날 기자는 연구실을 지키던 네 명의 교수를 만나 밤을 지새우는 이유를 물었다. 대답은 한결같았다. “연구가 정말 즐겁다”는 것이다.


◆김기훈(42) 물리천문학부 교수=차세대 메모리에 사용되는 신소재를 연구하는 김 교수는 “빨리 퇴근해 예쁜 두 딸을 보고 싶은 유혹을 이기고 매일 저녁 연구실로 향한다”고 했다. 학기 중에는 대부분 낮에 회의가 있고 방학 때도 일주일에 사흘은 계절학기 강의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피곤하지 않느냐”고 묻자 김 교수는 “매일 지적인 도전으로 밤을 새우다 보면 피곤한 줄도 모른다”고 답했다. 그는 “한국은 물리학에 대한 지원이 일본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지만 과학자들의 열정이 그 차이를 극복해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준석(40)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컴퓨터에 떠 있는 논문을 읽고 있던 박 교수에게 왜 밤늦게까지 교수실에 있느냐고 물었다. 그는 “50대만 돼도 노안이 와서 책 읽기가 쉽지 않다고 들었다. 그래서 하루라도 젊을 때 내공을 쌓아야 한다”고 말했다. 2008년 판사에서 교수로 직업을 바꾸면서 오히려 월급이 줄었다. 하지만 “좋아하던 지적재산권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했다.

지난달 29일 밤 11시에도 환하게 불이 켜진 서울대 공대 교수연구실. [강정현 기자]

◆안진호(40) 지구환경과학부 교수=오전 1시쯤 찾아간 연구실에서 안 교수는 논문을 읽고 있었다. 지난해 8월 임용된 그는 출퇴근시간을 줄이기 위해 교내 교수 기숙사에 둥지를 틀었다. 옆방 실험실에는 각종 실험기구가 놓여 있었다. 안 교수가 빙하 연구를 위해 직접 설계한 것이다. 냉장고에는 인공빙하가 들어 있었다. 한국에서 빙하 연구자는 안 교수를 포함해 단 두 명이다. 안 교수는 “내 연구 성과가 곧 한국의 연구 수준을 결정하기 때문에 더 열심히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형도(38) 물리천문학부 교수=“내가 인류 최초로 새로운 지식을 깨닫는다는 기쁨 때문이죠.” 나노(Nano·10억 분의 1 단위) 등 미시세계의 물리법칙을 연구하는 김 교수가 새벽까지 연구에 몰두하는 이유다. 달에 처음 발을 디딘 닐 암스트롱(Neil Armstrong)처럼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희열이 있다는 것이다. 이번 주는 그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다. “방학이 시작되면서 온전히 모든 시간을 연구에 투자할 수 있어요. 논문을 많이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말 질 좋은 논문을 쓰고 싶습니다.”

 이들 교수는 행정 업무와 수업 부담, 지원금 부족을 연구의 걸림돌로 꼽았다. 실제로 2009년 서울대 교수의 1인당 평균 연구비는 연간 2억2000만원으로 하버드대(4억1000만원)의 절반에 불과했다. 그러나 교수들의 연구 성과는 눈부시다. 같은 해 교수들은 매주 8.4시간을 강의하면서도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 논문 4475편을 발표했다. 논문 수로는 세계 20위로 매사추세츠공대(MIT·27위)보다 많았다. 신희영 서울대 연구처장은 “교수들이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비 지원과 함께 업무 부담을 덜 수 있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

이한길·정원엽·채윤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