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 완전소멸 3세대 유전자 합성 성공

중앙일보

입력

대구 동산의료원 연구팀이 발암유전자에 결합, 암세포를 소멸시키는 3세대 안티센스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합성하는 데 성공, 관심을 모으고 있다.

대구 동산의료원은 이 병원 의과학연구소(소장 곽춘식.58) 박종구(41)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 달라붙어 괴멸시키는 제 3세대 유전자 치료제인 ''리본 안티센스(Ribbon Anti Sense)'' 분자를 세계 최초로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그동안 유전자를 암세포에 투여해 암세포의 단백질 형성을 막아 소멸시키는 안티센스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돼 왔으나 체내의 효소에 의해 분해되거나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등 부작용이 심했다.

그러나 이번 박교수팀이 합성에 성공한 리본 안티센스 분자는 이를 분해시키는 효소마저 죽여 암세포를 완전히 소멸시킬 수 있으며 임상실험 결과 혈액암.대장암세포 괴멸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냈다고 병원측은 밝혔다.

리본 안티센스 분자는 유전자를 이용, 병 발생 유전자 자체를 괴멸시킬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AIDS 등의 감염성 질환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등 차세대 유전자 치료제의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또 기술력 없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국내 제약산업에 유전자 바탕의 첨단 분자의학품을 개발할 수 있는 핵심 기반기술을 개발했다는 측면에서 의료계는 높게 평가하고 있다.

박교수팀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지난달 경주에서 열린 한국 생화학회가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발표했으며 최근 국제 저명 학술지인 ''Biochemical Journal''과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등에도 소개돼 국제적으로 호평을 받았다는 것이다.

지난 93년 미국 유학때부터 이 연구에 몰두했던 박교수는 96년 제 1세대 안티센스 분자에 대해 국제특허를 받았으며 제 2.3세대 안티센스 분자에 대해 현재 국내.국제 특허를 출원중일 정도로 이 분야의 권위자로 알려졌다.

대전에 있는 생명공학연구소 이영익 책임연구원은 "박교수팀이 개발한 리본 안티센스는 보통유전자의 반대 서열로 된 유전자를 암유전자에 달라붙도록 해 암세포를 소멸시키는 방법으로 최근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박교수는 "모든 질병은 유전자에서 기인하므로 각 질병에 작용하는 안티센스 분자를 합성하기만 하면 질병의 발현을 막을 수 있다"면서 "치료제로서 실용화에는 5~10년 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