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상한제로 분양하는 게 낫다니까요”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황정일기자] 요즘 서울 재개발·재건축 구역에서 일반분양을 앞둔 건설사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를 공언하면서 분양을 미루겠다는 재개발·재건축조합원들 때문이다. 시공사는 예정대로 분양할 것을 주장하는 반면, 조합들은 상한제 폐지에 따른 주판알을 튕기며 손익 계산이 한창이다.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은 민간택여서 정부의 공언대로 민간택지 상한제가 폐지되면 혜택을 볼 수 있다. 상한제에서 벗어나면 일반분양 분양가를 주변 시세 이상으로 올릴 수 있게 된다.

분양가를 올려 수익을 더 내면 그 만큼 재개발·재건축조합원들의 부담이 줄어드는 것이다. 한마디로 사업성이 좋아지는 것인데, 이 때문에 재개발·재건축 구역들도 그동안 상한제 폐지를 요구해 왔다.

조합 “미루자” 시공사 “계획대로”

하지만 시공사 입장에서는 분양 연기가 반갑지 않다. 분양이 미뤄지면 조합에 빌려준 사업비 회수가 늦어져 금융비용이 더 늘 수 있기 때문이다. 상한제가 폐지돼 조합이 분양가를 올리기라도 하면 미분양에 허덕일 수 있다.

한 대형 건설업체 임원은 “단순 도급 사업장이라도 시공사의 브랜드로 분양하는 만큼 분양가를 올리면 자칫 고분양가 논란에 휘말릴 수 있다”며 “그러면 브랜드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 때문에 건설업체들은 상한제가 폐지돼도 득될 게 없다고 조합원들을 설득하고 있다. 서울·수도권 분양시장이 여전히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상한제를 폐지해도 분양가를 올리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A건설 관계자는 “분양가를 올리지 못할 바에는 차라리 상한제로 분양해 분양가가 저렴하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편이 낫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성동구 옥수동 옥수12구역 재개발조합이 지난달 30일 대의원 총회를 열고 당초 일정대로 이달 초 분양키로 함에 따라 관련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분양을 예정대로 진행키로 함에 따라 시공사인 삼성물산은 오는 7일께 입주자모집공고를 낸 후 본격적인 청약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3.3㎡당 분양가는 1900만원대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