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삐삐사업자, '사업권반납 불사'

중앙일보

입력

지역 무선호출(삐삐) 사업자들이 급속한 가입자 이탈로 위기에 몰리자 정보통신부에 대책마련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나래이동통신과 서울이동통신 등 12개 지역 무선호출사업자들은 25일 정통부에 제출한 탄원서를 통해 무선호출사업의 사업성 악화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에서 무선호출서비스의 고유영역을 보장해 주고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할수 있는 서비스 허가와 주파수를 배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지역 무선호출사업자들은 이같은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무선호출사업의 퇴출이 불가피하며 지금까지 정부에 납부한 2천여억원의 연구개발 출연금을 반납해 줄 것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또 현재와 같이 가입자가 계속 감소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자신들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으면 대다수 무선호출사업자가 도산될 것이며 따라서 조기 사업 퇴출과 사업권 반납을 결의했다고 강경방침을 선언하고 나섰다.

12개 지역무선호출사업자 협의회회장인 심판구(沈判求) 광주이동통신사장은 '정부가 기술발전상 어쩔 수 없다는 이유로 무선호출서비스를 이동전화서비스 영역에 포함시켜 대량의 가입자 이탈사태가 빚어지게 됐다'면서 '이에 상응한 지원방안으로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사업권 등을 무선호출사업자에 제공해야 한다'고 주 장했다.

이에 대해 정통부 관계자는 '무선호출사업자들의 어려움은 이해하지만 기본적으로 수요가 없기 때문이며 현재로서는 대처할 방법이 없다'면서 '이들의 주장은 무리한 요구사항으로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12개 지역 무선호출사업자의 가입자는 지난 97년 769만명까지 늘어났으며 PCS 등장이후 급격히 감소해 지난 9월말에는 2백62만여명으로 감소했다.

SK텔레콤(012) 무선호출 가입자까지 포함할 경우 전체 무선호출 가입자는 9월말 현재 4백82만여명으로 최고에 달했던 지난 97년 1천519만명에 비해 1년9개월만에 1천만명 이상이 이탈했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