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자기자본비율 대만의 절반 수준

중앙일보

입력

국내 제조업체의 재무구조가 올 상반기 크게 개선됐지만 주요 선진국과 비교할 때는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미국.일본.대만(미.일 97년말, 대만 95년말 기준) 등 선진국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기업의 안정성과 단기부채상환능력 등 모든 재무구조 지표에서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기업이 운용할 수 있는 자기자본비율의 경우 한국은 올 상반기 28.8%를 기록했으나 대만(53.9%)의 절반수준에 불과했다.

또 미국(39.4%)과 일본(34.9%)에 비해서도 상당히 모자란 편이어서 그만큼 우리나라는 기업의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단기부채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은 한국이 98년말 89.8%에서 지난 6월말 94.1%로 높아졌으나 미국(134.9%), 일본(129.8%), 대만(129.4%)등이 100%를 넘는 것과 비교할 때 아직도 위험한 수준이다.

국내 제조업은 저금리 기조에 힘입어 단기부채를 줄임으로써 단기부채 상환능력이 좋아졌지만 또다시 금리가 상승할 경우 빚을 제때 못값는 유동성위기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국내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98년말 303%에서 지난 6월말 247.2%로 낮아졌다고는 하지만 대만(85.7%)의 3배 수준이며 미국(153.9%)보다도 훨씬 높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 제조업체는 재무구조가 개선추세에 있으나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재무건전성이 크게 뒤떨어지기 때문에 자기자본 확충 등에 더 힘써야 할것”이라고 말했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