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비대우채 분리환매 전면허용 추진

중앙일보

입력

정부는 오는 10일 이후 예상되는 대우채권 환매가 진정됐다고 판단될 경우 금융기관에 대해서도 비대우채권에 한해 수익증권 환매를 전면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이달말쯤 확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신협과 새마을금고에 대해 적절한 수준에서 대우채권의 환매를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환매자금의 투신권 재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대우채권 편입 공사채형펀드 가입자가 전액 환매해 하이일드펀드(그레이펀드)에 가입하는 경우 환매수수료를 면제해주고 주식형펀드로의 추가전환도 금주중 허용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9일 대우채권의 환매비율이 50%에서 80%로 높아지는 10일 이후 대우채권의 환매규모는 5조∼7조원으로 예상돼 현재 증권.투신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유동성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9일 현재 일반법인과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대우채권 편입 공사채형펀드는 49조원으로 이 가운데 10∼15%가 환매된다고 가정할 경우 환매규모가 이같이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환매규모가 이같은 예상을 초과하더라도 채권시장안정기금의 한도확대를 통해 16조원의 현금을 확보하고 있어 투신사가 보유한 채권을 매입해 유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한국은행이 투신사가 보유한 통안증권(10조원)과 국공채(9조원)를 6조원 규모에서 매입, 유동성을 지원할 방침이어서 최대 38조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며9일 현재 수탁고의 20%가 환매로 빠져나갈 경우에도 유동성 부족사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그동안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유동성이 허락하는 한도내에서 비대우부분의 분리환매를 선별적으로 허용해왔다며 10일 이후 환매사태가 벌어지지 않을 경우 분리환매의 전면 허용을 검토, 빠르면 이달말부터 시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신협과 새마을금고는 일반법인 수준의 대우채 환매 허용을 요구하고 있으나 일반법인과 금융기관 사이의 적절한 수준에서 환매비율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