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워크아웃플랜 확정 2∼3주 늦춰질 듯

중앙일보

입력

㈜대우, 대우자동차, 대우전자, 대우중공업 등 대우 주력 4개사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계획 확정이 예정보다 2∼3주 정도 늦춰질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29일 대우 해외채권단이 이들 주력 4개사의 정확한 필요채무조정비율 등을 요구하고 이를 검토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요청, 2∼3주 정도 검토시간을 갖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오는 2일에는 채권단 운영위원회만을 열어 워크아웃 계획안을 마련하고 이를 국내외 채권단에게 제시, 최대한 합의를 도출한 다음 채권단협의회를 열어 최종 확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해외채권단이 4개사에 대한 필요채무조정비율 등을 검토해봐야 참여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며 6개월 정도의 충분한 검토시간을 요청했으나 국내채권단의 입장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워 이를 2∼3주로 조정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들 4개사의 워크아웃 플랜은 빨라야 2∼3주후에 확정될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해외채권단의 참여없이 워크아웃 계획을 확정할 경우 국내 채권단의 채권은 일정부분 할인되는데 비해 해외채권단의 채권은 그대로 남게되기 때문에 국내 채권단도 일방적인 워크아웃 계획 확정에는 동의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대우와 대우전자가 계열사들의 해외부채에 대해 지급보증한 부분이 많아 이들 주력 계열사들의 워크아웃 계획은 해외채권단의 동의 없이는 시행에도 어려움이 클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이들 주력 4사의 부채는 49조6천767억원으로 대우그룹 전체 부채의 83%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해외채권단이 보유하고 있는 부채는 67억달러로 그룹 총부채 431억달러의 15.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85%는 ㈜대우와 대우자동차 부채라고 언스트 앤드 영 회계자문사는 밝힌바 있다.

한편 주력 4개사의 워크아웃 계획 확정이 늦춰짐에 따라 이를 바탕으로 확정할 예정이던 한국투신과 대한투신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규모 등도 따라서 2∼3주후에 결정될 전망이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