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북교역 저자세 탈피 해야

중앙일보

입력

대북교역에서 우리 중소기업들의 지나친 저자세가 남북경협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한국무역협회 등 중소기업들의 대북사업을 지원하고 있는 관련단체 북한경제 전문가들은 "우리 중소기업들이 대북교역사업 내용이 언론과 다른 업체에 알려지는 것을 지나치게 꺼리고 있는데 결코 그럴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최근 대북 임가공업체인 P사, D사, S전자의 대북교역팀 관계자는 "북한과의 사업내용이 언론에 알려질 경우 북한을 자극, 무산될 우려가 있어 세부사항을 밝히기어렵다"며 교역 추진실태의 공개를 거부하고 기자들의 업체방문을 거절했다.

중소기업의 이같은 태도에 대해 북한경제 전문가들은 "중소기업들의 비공개 대북사업추진은 지나치게 북한의 눈치를 살피는 저자세"라며 "북한은 경제회생에 우리기업인들의 도움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고 있어 진행중인 사업내용이 공개됐다 하여 일방적으로 이를 중단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말했다.` 이들 북한경제 전문가들은 "우리 중소기업인들이 지나친 저자세로 대북교역에임하다보니 대북교역사업 대가로 5만-30만달러를 북한에 지불하는 것이 관례화됐다"며 "이러한 폐단을 없애기 위해서라도 공개할 정보는 과감히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지적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사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전에 공개되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으나 추진중인 사업 내용을 공개할 경우 기업간 과당경쟁을 막고 신규 대북진출 업체들에게 정확한 정보와 철저한 사전준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정보공개 및 공유원칙을 강조했다.

이들은 "대북교역에서의 문제는 정보의 공개보다 사업에 대한 사전검토 미흡과 반입물품의 판로제한 등으로 1회성 사업으로 끝내는 일부 업체들의 태도가 문제"라며 "북한당국은 우리 기업인들에게 지속적인 교역을 요구하고 있어 단발성 사업으로 끝낼 경우 신뢰를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