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반포 초고층 개발, 서울시 vs 서초구청 어떻게 되나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서울시가 전체 5개 유도정비구역 가운데 반포지구와 잠실지구, 당산지구에 대한 지구단위정비계획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이는 이들 지구의 개발 밑그림(마스터플랜)을 그리는 것으로, 용역은 빠르면 2011년 말 마무리된다.

그런데 반포지구의 경우 앞서 서초구가 이달 초 자체적으로 연구용역해 마스터플랜을 내놨다. 30년이 지난 반포지구의 기존 낡은 아파트 1만여 가구를 최고 50층의 초고층 2만여 가구의 친환경 복합도시로 건설하는 내용이다.

올림픽대로는 지하화하고 한강변에는 공원이 조성된다. 서초구청이 이미 마련한 마스터플랜이 있는 데 굳이 서울시가 따로 마스터플랜을 세우는 이유는 간단하다. 쉽게 말하면 유도정비구역에 대한 개발 주최는 자치구가 아니라 서울시이기 때문이다.

구청의 마스터플랜은 아무 효력 없어

서초구청이 마스터플랜을 마련한 것은 말 그대로 ‘그냥’ 만들어 본 것이다. 법적 효력은 물론 행정적 효력도 없다. 그렇다고 아무 이유 없이 세금을 들여 연구용역을 한 건 아니다. 서울시 압박용이다.

서울시가 지난해 초 한강의 공공성 회복 선언과 함께 반포지역을 유도정비구역으로 지정했지만 개발 시한을 못박지 않았다. 유도정비구역 자체가 중장기적으로 개발하겠다는 의미다.

하지만 서초구는 다급했다. 이미 단지별로 재건축이 진행되고 있는 데다 아파트가 많이 낡았기 때문. 개발 압력이 높았던 것이다.

그런 데다 서울시가 반포지구에 대한 개발 의지를 보이지 않자 자체적으로 시의 한강변 개발 지침에 따라 연구용역을 주고 마스터플랜을 만들어 본 것이다.

시에 얼른 개발해 달라는 무언의 압력이었던 셈이다. 그렇다면 서초구청의 마스터플랜과 앞으로 서울시가 만들 마스터플랜의 차이점은 뭘까. 지금으로서는 사실 알 수 없다. 시의 마스터플랜이 어떤 방향으로 나올지는 서초구청도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다만 서초구청은 큰 틀에서는 자신들이 세운 마스터플랜과 별반 차이가 없을 것으로 내다본다. 서초구청 관계자는 “가구 수나 높이 등은 밑그림과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서울시의 한강변 개발 지침 등을 참고해 그린 밑그림인 만큼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용역은 빠르면 오는 2011년 말 마무리돼, 이들 지역에 대한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등의 후속 절차가 이어질 전망이다. 일단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되면 관련법상 노후도 등의 요건을 만족하는 대로 정비사업에 착수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