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목소리 못 낸‘한 지붕 16가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3면

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유로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한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왼쪽)와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얘기를 나누고 있다. [브뤼셀 AP=연합뉴스]


유럽이 재정위기 확산을 막을 방안을 놓고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6일(현지시간) 열린 유로권 16개국 재무장관 회의는 별 소득 없이 끝났다. 같은 유로화를 쓰지만 나라 살림은 각자 꾸리는 ‘한 지붕 16가족’의 이해가 엇갈린 탓이다. 재무장관 회의를 앞두고 기대감에 오름세를 타던 유로화 값은 다시 미끄러졌다.

 회의에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구제금융 기금 확충을 촉구했고, 유로 재무회담 의장인 장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와 줄리오 트레몬티 이탈리아 재무장관은 유로권 공동채권 발행 구상을 제안했다.

 융커 총리 등은 이를 위해 현재 구제금융을 담당하고 있는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대신 공동채권을 발행할 유럽차입청(EDA)을 설립하고, 공동채권 발행 규모를 역내 국내총생산(GDP)의 40%까지 점진적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공동채권 발행을 통해 ‘유로화가 붕괴돼 다시 국가별 통화체제로 돌아갈 일은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시장에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동채권이 발행되면 그리스·아일랜드·포르투갈·스페인 등 재정이 불안한 나라들은 보다 싼 비용으로 돈을 빌릴 수 있게 된다.

 독일의 강력한 반대 때문에 유로 재무장관 회의에선 추가 시장 안정책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이날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최근 재정 위기 확산 방지책으로 거론되고 있는 EFSF 규모 확대, 공동채권 발행 등에 모두 반대한다고 밝혔다. 메르켈 총리는 “지금까지 EFSF 자금을 신청한 국가는 아일랜드밖에 없다”며 “현재 기금은 아일랜드를 지원하고도 남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공동채권과 관련해 “각국 간 경쟁을 없애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역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