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간 각부처 업무 파악 주요사안은 현장검증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30일 출범한 대통령직 인수위의 업무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정무·경제 등 인수위 6개 분과가 해당 부처의 주요 현안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새 정부의 대응 방향을 마련한다. 동시에 새로 추진할 과제도 선정한다.

이어 당선자 특보단과 인수위 자문위원단 등 노무현 당선자의 조언그룹이 총동원돼 사안별 대책과 실천방안을 다듬는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정책들에 대해 인수위와 외부 인사가 결합된 '과제별 추진단'을 꾸려 임기 동안 각 과제의 실천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인수위는 내년 1월 15일까지 분과별로 소관 행정부처로부터 업무 현황을 보고받는다. 盧당선자는 30일 인수위 전체회의에서 "정부 보고나 현안을 챙길 때 인수위원들이 전문가나 이해집단, 갈등 당사자에게서 사전에 충분한 의견을 들어야 할 것"이라며 철저한 준비를 당부했다. 인수위는 주요 사안의 경우 현장검증도 벌이기로 했다. 인수위는 이 과정에서 김대중(金大中)정부의 정책을 평가해 강화·보완이나 수정·폐기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다음달 중순까지는 북핵문제 등 盧당선자가 취임 전부터 시급히 관심을 쏟아야 할 사안들을 골라 차기 국정 책임자로서 盧당선자가 제시해야 할 입장과 해결책을 제공한다. 盧당선자는 이날 북핵 해법과 조흥은행 매각 문제, 선물시장 부산 이전 논란과 정치개혁 문제 등을 거론하며 각 분야가 결합된 전략팀을 만들거나 특위를 꾸려서라도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현안 파악을 마치면 인수위는 1월 말까지 새 정부의 중·장기적 역점 과제 선정에 들어간다. 2월 초 공개 세미나를 거쳐 2월 중순까지는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새 정부의 역사적 의미와 성격을 규정하는 국정이념 수립 작업도 벌인다.

인수위 내 '국민참여센터'는 이 과정에서 각종 정책에 대한 국민의 아이디어를 온라인과 서신 등으로 접수해 반영하고 각계를 상대로 여론조사를 벌여 참고자료로 제공한다.

盧당선자는 최종 선정된 새 정부의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선 실천 주체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를 위해 과제별 추진단을 임기 동안 서포터 그룹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성탁 기자

sun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