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체육 전담 부처 부활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3면

"학교체육을 살리기 위해 학교체육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를 부활해야 한다."

17일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학교체육 정상화 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대한체육회가 주관한 이 공청회에는 이상주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과 이연택 대한체육회장 등 3백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학교체육의 부재를 성토하며 교육인적자원부 내에 학교체육 전담부서의 설립을 촉구했다.

김종량 대학스포츠위원회 위원장(한양대 총장)은 기조연설에서 "학교체육이 올바르게 자리잡아야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며 "아이로니컬하게도 우리나라는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학교체육의 기반이 무너지기 시작했다"고 진단했다.

88년 이후 정부 조직이 개편되면서 그때마다 기능이 축소돼 지금은 문화관광부의 1개국(체육국)만 남아 있으며 이마저도 학교체육과는 직접 관계가 없어 조직개편의 가장 큰 피해가 학교체육이라고 말했다.

정부 관장부서가 없다보니 중·고교 체육시간이 대폭 줄어들었고, 체력장 제도와 입시체력검사 제도도 폐지됐으며, 교양 필수과목이던 대학체육 과목이 선택과목으로 밀려났다고 지적했다.

설상가상으로 체육 담당부서가 교육인적자원부와 문화관광부로 분산돼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양 부처간 역할 및 한계도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홍성표 대전시 교육감은 주제 발표에서 "북미와 북유럽 국가들은 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체육을 중시하고 사회·환경적 차원에서 이 분야에 적극 투자한다"며 "이는 학교체육이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에 기여하며 삶의 질 향상과 직접 관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홍교육감은 현재 학교체육은 학교정책실 내 학교정책과의 한 실무자가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어 정책에 반영되기 힘들다고 지적하고 정부 부처 내에 학교체육 전담부서를 부활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강신옥 단국대 생활체육과 교수는 "90년 8월 문교부가 '운동장없는 학교' 설립을 추진한 것이라든지, 7차 교육과정 개정시 체육이수단위를 하향 조정한 것은 정부 내 체육전담부서가 없기 때문에 발생한 어처구니없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신동재 기자

dj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