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서리청문회]'막도장'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틀째 청문회에서는 장대환 총리서리가 매일경제로부터 23억9천만원을 빌린 과정에 대한 집중적인 추궁과 반박이 이어졌다.

한나라당 홍준표(洪準杓)의원은 대출을 결의한 이사회 회의록에 찍힌 도장을 문제삼아 회의록이 대출 결정 이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洪의원은 "후보자가 이사회 회의록에 찍은 도장은 개인 인감"이라며 "집에 보관하는 게 상식인 인감이 어떻게 회사 문서에 찍혀 있느냐"고 따졌다. 張서리가 "평소 회사에 보관하고 있다"고 답변하자 洪의원은 "회의록에 찍힌 도장 가운데 張후보의 도장은 개인 인감도장이지만 나머지 임원들은 모두 나무로 급히 새긴 막도장"이라고 몰아세웠다.

이어 洪의원은 "회의에 개인이 아닌 이사회 의장으로 참여했으니 대표이사 도장을 찍어야 한다"며 "업무상 배임문제가 나오니까 사후에 회의록을 급히 만든 게 아니냐"며 조작 의혹을 추궁했다.

이에 대해 張서리는 "회의록에 막도장을 찍어서는 안된다는 얘기는 못들어봤다"며 "대출 전에 이사회 승인을 미리 받았고 절대로 회의록을 추후에 만들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한나라당 엄호성(嚴虎聲)의원은 차용증서를 문제삼았다. 嚴의원은 "회사로부터 돈을 빌린 뒤 한참 지난 2001년 12월 31일에야 차용증서가 작성된 이유가 뭐냐"고 따졌다.

嚴의원은 또 "원금과 만기, 이자율을 명시하는 일반적 차용증서와 달리 대여금과 이에 대한 이자금액만을 기재한 차용증서의 형식도 극히 이례적"이라며 "정권과 타협해 부랴부랴 만든 의혹이 있다"고 말했다.

張서리는 "차용증서와 세무조사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며 "가지급금은 연말 회계감사 때 대주주에 대한 장기 대여금을 빨리 해소하는 게 좋다는 외부 회계법인의 지적에 따라 은행 돈을 빌려 해소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나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