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大煥 청문회'의 과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장대환 총리지명자를 검증할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가 어제서야 구성됐다. 총리서리 임명 이래 고액 은행 대출과 용처에 대한 의문,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이 속속 제기됐음에도 지명 12일 만에야 검증기구가 발족했으니 부실검증마저 걱정된다. 여기에 張총리서리 측은 의혹 해명이 의혹을 되레 증폭시키자 이내 함구로 일관, 항간의 뒷소문은 더 무성한 상태다.

장인의 매일경제신문을 승계한 기업인으로서 張지명자는 부적격 판정을 받은 전임 장상씨보다 경우에 따라선 따질 게 더 많을지도 모른다. 이미 논란이 된 우리은행에서 빌린 38억9천만원 건과 관련해 다른 사람을 내세워 밝힌 해명은 아직까지는 의혹을 풀지 못하고 있다. 이미 시민단체가 제기한 자녀의 8학군 위장전입과 과다한 예금액,DJ정권과의 유착 및 특혜 의혹 등도 검증해야 할 사안들이다.

지난번 청문회와 같이 높은 도덕성 잣대를 들이대야하는 형평의 원칙과 한번도 아닌 두번씩 총리지명자를 보이콧할 수 있느냐는 딜레마를 안고 이번 청문회는 출발한다. 그런 점에서 질문자들은 충분한 토론을 거쳐 준비된 질문을 해야 한다. 지난 청문회에서 보았듯 張지명자는 문제의 핵심을 피할 것이 아니라 사실을 있는 대로 정직하게 피력하는 게 정도라고 본다. 남에게 책임을 전가할 것이 아니라 진솔한 사과와 성실한 답변 자세로 임해야 '감정적' 청문회로 가는 우(愚)를 피할 수 있다.

높아진 도덕성 잣대를 달리 적용할 이유는 없으나 임기 말 국정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능력·자질 검증이 특히 강조돼야 한다. 한나라당이 또 한번의 총리 인준안 부결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피하기 위해 '적당히' 끝내려 하거나 민주당 측은 그 반대의 상황 조성에 나서리라는 얘기도 나돈다. 총리감이 못되는 인물을 인준하거나 총리 재목을 헐뜯어 낙마시키는 것 모두 국민 기만이요, 모독이다. 엄정한 검증 여부를 국민이 검증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