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훈련, 서해 아닌 동해·남해서 할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천안함 사건에 대한 유엔 안보리 의장성명이 9일 채택됨에 따라 한·미 연합 해상 군사훈련과 우리 군 단독의 대북 조치가 어떻게 진행될지 관심이다. 정부가 안보리 프로세스를 보고 난 뒤 이를 실시하겠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한·미 연합훈련은 조만간 실시될 전망이다. 군 당국자는 11일 “한·미 연합 해상 훈련을 7월 중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안보정책구상(SPI) 회의에서 그렇게 의견이 모아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확한 훈련 일정이나 장소·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 서해상에서의 연합 훈련에 대한 중국의 반발이 워낙 거센 데다 북한이 6자회담과 유엔사-북한군 간 대령급 실무협의를 제안한 만큼 한·미 간에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 일본 요코스카항에 정박해 있던 미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가 지난 9일 서해로 향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있었지만 군 당국은 이 항모의 훈련 참가는 결정된 게 없다는 입장이다. 연합훈련을 중국의 반발을 의식해 당초 계획했던 서해가 아닌 동해나 남해에서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이날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어디서든 해상훈련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우리 군 당국이 5월 24일 발표한 대북 확성기 방송과 전단살포·대형 전광판을 활용한 심리전 재개는 쉽지 않아 보인다. 국방부 당국자는 “대북 심리전 재개가 자칫 선제공격으로 비칠 수도 있어 추가 협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른 당국자는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단 제작이나 확성기 설치가 완료된 만큼 향후 남북관계에서 이를 카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