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사과로 끝날 일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김대중 대통령이 차남 홍업씨 구속에 즈음해 대국민 사과를 했다. 셋째 아들에 이어 차남마저 파렴치한 알선수재 등으로 구속됐으니 본인의 자괴(自愧)처럼 어찌 국민 앞에 고개를 들 수 있을까. 월드컵 축제열기 속에서 노(老)대통령의 모습이 더욱 초라하다."부끄럽고 죄송한 심정으로 살아왔다"는 말로는 국민의 실망을 덜어줄 수 없다. 세계인이 한국을 주시하는 가운데 TV 앞에서 고개를 떨군 국가원수를 바라보는 국민의 심사도 참담하기 그지없다.

무엇이 온국민에게 좌절과 치유하기 힘든 깊은 상처를 안겼는가. 한마디로 金대통령 자신의 잘못이다. 대통령 당선 후 그는 아들이나 주변의 일로 국민에게 걱정을 끼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공언했다. 전임 YS의 아들 현철씨 등이 검은 돈으로 줄줄이 구속된 생생한 경험이 투명사회 건설을 다짐하게 하지 않았는가. 그러나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金대통령과 민주당은 오히려 두 아들을 둘러싼 무수한 비리 의혹을 야당의 정치공세라며 반박하기에 급급했다.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서 결국 두아들이 구속되고 장남은 소속 정당에서 탈당 압력까지 받는 처참한 지경에 이르렀다.

金대통령은 아들들에 대한 엄정처벌만 약속했지 국민의 분노를 자아내는 다른 부분에 대한 해명이나 처리는 언급하지 않았다. 민주당조차 미흡하다고 비판했다.

비리의 본산처럼 비춰진 아태재단의 비자금과 이의 존폐 여부, 그리고 아직도 풀리지 않고 있는 숱한 의혹 등을 분명하게 밝히고 정리하지 않는 한 국민의 용서는 기대하기 어렵다."책임을 통절하게 느껴왔다"는 고백도 수사(修辭)에 불과한 것으로 매도될지 모른다. 金대통령이 회한을 씹으며 공언한 국정전념은 경제살리기와 부패척결에 맞춰져야 한다. 국민에 대한 빚을 다소나마 갚을 시간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