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방배 직선路 뚫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2005년까지 이전하기로 결정된 서울 서초동 국군정보사령부 부지 5만5천여평은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이른바 '강남 마지막 노른자위 땅'이다.

1999년 기준 공시지가로 따져도 2천62억원. 현재 평당 1천5백만원으로 계산하면 7천억원이 넘지만 건설업체 등에선 부지 매입에 본격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보사 이전설은 80년대 후반부터 나돌아 부지 매입을 놓고 대규모 사기사건이 발생하는 등 말썽도 끊이지 않았다.

◇부지 어떻게 쓰나=서울시는 우선 4백96억원을 들여 부지 4천5백평에 서초로와 방배로를 잇는 직선도로를 건설할 예정이다. 내년 하반기 착공해 2006년 완공될 이 도로는 왕복 6차로(폭 40m)로 지하터널 구간 4백50m를 포함해 전체 1천1백50m 길이다.

자투리땅을 포함한 나머지 5만여평은 국유재산법에 따라 처리된다. 국방부는 국유재산법상 부지를 일반에 공매할 수 있으나 서울시 등 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이 '공익사업'을 전제로 매입을 원할 경우 우선 매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는 도로개설 부지 외에는 매입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우선 공원용도로 지정된 1만7천7백평은 직접 매입, 시민들을 위한 녹지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일반주거지역 2만6천7백평에 대해선 땅값이 워낙 비싸 내년께 지구단위 계획을 세운 뒤 복지시설이나 공원 또는 저밀도 주택지구로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일반주거지역까지 매입해 공익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는 게 좋겠지만 시 재정을 감안하면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전 둘러싼 우여곡절=서울시는 78년 강남지역 도로계획을 수립하면서부터 서초와 사당을 잇는 도로를 건설키로 했다. 그러나 당시 강남지역의 교통체증이 심하지 않았을 뿐더러 71년부터 지금의 위치에 자리잡은 정보사 부지가 가로막아 엄두를 내지 못했다.

도로 건설 논의는 89년 고건(高建)시장이 관선 서울시장에 취임하면서 시작됐다.

그러나 계속 지지부진하다 高시장이 민선시장으로 돌아오면서부터 국방부 및 부대측과 '정보사 이전'에 원칙적으로 합의, 마땅한 이전부지를 물색해 오다 이번에 결실을 보았다. 서울시로서는 24년 만에 숙원사업을 해결한 셈이다.

정보사 이전을 둘러싸고 대형 사기사건도 끊이지 않았다. 부동산 사기사건은 88년 서울 도심지 주둔 군부대의 지방 이전 계획이 알려지면서 터지기 시작해 지금까지 수십건에 이른다.

특히 92년에는 군 관계자가 국방부장관과 정보사령관의 직인까지 위조, 부지 매입 계약을 체결한 4백73억원 규모의 사기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박현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