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코스닥 등록 2005년부터 쉬워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르면 내년 1월 초부터 벤처기업들의 코스닥시장 등록이 한결 쉬워진다. 자본금 5억원 이상에 경상이익을 내야 하는 현행 요건을 맞추지 못하더라도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춘 기업은 코스닥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등록할 수 있다.

내년부터 등록하는 벤처기업은 소득액의 30%를 비용에 해당하는 사업손실준비금으로 처리할 수 있게 돼 세 부담이 줄어든다. 등록이 쉬워지는 만큼 부실 등록 기업은 조기 퇴출된다. 부실 기업은 관리종목으로 많이 편입되고 퇴출까지의 유예기간이 현재 1년에서 6개월로 단축되기 때문이다.

또 코스닥시장의 하루 가격제한폭이 상하 12%에서 15%로 확대된다.

정부는 24일 경제장관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벤처기업 활성화 대책'을 확정했다.

<관계기사 6, 17면>

이에 따르면 일반인의 코스닥시장 투자를 늘리기 위해 코스닥시장에서 주식을 팔 때 양도소득세가 면제되는 소액주주 기준을 지분율 3% 이하가 있는 투자자에서 지분율 5% 이하의 투자자로 확대한다.

개인의 코스닥 공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코스닥 공모주의 30%를 고수익펀드에 의무적으로 배정토록 하는 규정을 없애고 개인에 대한 배정 물량을 20%에서 40%로 늘렸다.

대기업이 벤처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범위도 확대된다. 현재 대기업이 지배 목적 없이 벤처기업에 지분의 30% 미만을 투자하면 출자총액제한제도 대상에서 제외하는데 이 비율을 높인다는 얘기다.

김종윤.박혜민 기자

<벤처 활성화 대책>

-수익이 없더라도 기술이 있으면 등록 가능

-등록 벤처에 대한 세제 지원

-코스닥 하루 가격제한폭 12%→15%로 확대

-양도세 면제받는 주주 범위 확대(지분율 5% 이하)

-반기 100% 이상 자본잠식 기업도 관리종목으로 지정

-퇴출까지 유예기간을 1년에서 6개월로 단축

-실패한 벤처경영인 중 일부에 신규 보증 지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