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일손 가뭄'목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영농철을 앞두고 농촌 인력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농촌 일손이 지방선거의 선거운동쪽으로 빠져나가는 데다 지방공무원들도 월드컵 행사 준비를 하느라 예전처럼 농촌 일을 돕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농림부는 4일 올 상반기 영농철에 투입할 공무원·군인·경찰·학생 등 농촌 일손돕기 인력을 지난해 연인원 61만8천명보다 훨씬 줄어든 50만명으로 낮춰 잡았다.

농촌 일손돕기 인력은 1999년 53만2천명에서 2000년 48만명으로 줄었다가 지난해엔 가뭄으로 투입 인력이 크게 증가했었다.

농림부는 지방선거와 월드컵 대회가 다가오면 인력 확보가 더 어려울 것으로 보고 봄철 농촌 일손돕기를 예년보다 보름 앞당겨 5일부터 6월 30일까지 87일간 실시하기로 했다.

농림부 관계자는 "지방선거 운동이 시작되면 농촌에서 사람 구하기가 더욱 힘들어져 일손돕기 기간을 앞당겨 미리 인력을 확보하기로 했다"며 "만약 봄가뭄이 계속되면 현재 계획하고 있는 인력으로는 일손이 모자랄 것 같다"고 걱정했다. 일부 지역에선 벌써부터 인력이 모자라 품삯이 올라가고 있다.

농림부에 따르면 일반 농사일을 기준으로 할 때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남자는 하루 평균 일당이 4만~6만원, 여자는 2만5천~4만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10~20% 가량 올랐다.

그나마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전이 본격화하면 농촌 인력이 보다 돈벌이가 쉬운 선거운동원으로 대거 몰릴 것으로 보여 오른 품삯으로도 일손을 구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양주군에서 과수원을 하는 高모(64)씨는 "과실 솎아내기, 과수 인공수분과 마늘·양파 같은 밭농사는 기계화가 어려워 사람의 손을 빌려야 한다"며 "농촌에는 노인들만 남아 있는데 선거판으로 젊은 사람들이 빠져 나가면 농사를 어떻게 지을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