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도지사 競選 곳곳 잡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6·13 지방선거를 석달 가량 앞두고 각 정당의 시장·도지사 경선 열기가 차츰 뜨거워지고 있다. 지역별로 많게는 4~5명씩의 후보가 자천타천으로 거론되고 있다.하지만 후보 선정과 경선 방식 등을 놓고 당내 갈등과 대립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금품 살포 시비 등 잡음이 일어 후유증마저 우려되고 있다.

◇민주당=모든 지역에서 경선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현재 경선 일자가 확정된 곳은 서울(4월 2일)·인천(4월 23일)·광주(5월 4일)·경기(3월 31일)·전남(5월 4일) 등 다섯 곳에 불과하다.이 중 경기지사 경선은 유력 후보였던 임창열(林昌烈)현 지사가 지난 12일 대법원에서 유죄 취지의 판결을 받아 출마하기가 어려워지면서 김영환(金榮煥)의원만 남아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서울도 고건(高建)현 시장의 고사로 김민석(金民錫)·이상수(李相洙)의원의 2파전으로 좁혀졌다.

전남과 제주의 경우 허경만(許京萬)전남지사는 금품 살포 시비에, 우근민(禹瑾敏)제주지사는 성추행 시비에 휘말려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전북은 경선 방식을 놓고 당내 기반이 탄탄한 정세균(丁世均)의원과 도민 지지도가 높은 강현욱(姜賢旭)의원이 팽팽히 맞서 있다.

충청·영남권은 대선 후보가 누가 되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 경선 자체가 불투명하다. 취약 지역은 연합 공천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한나라당=부산(4월 10일)·대구(4월 8일)·인천(3월 29일)·울산(4월 2일) 등 네 곳을 제외하면 합의 추대론과 경선론이 날카롭게 대립, 난항을 겪고 있다.

서울은 홍사덕(洪思德)의원이 불공정 경선을 이유로 불출마를 선언, 사실상 이명박(李明博)전 의원으로 확정됐다.

대전은 김용환(金龍煥)·강창희(姜昌熙)의원 등이 염홍철(廉弘喆)전 시장의 합의 추대를 추진하자 이재환(李在奐)전 의원과 김원웅(金元雄)의원이 경선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나서 진통이 예상된다.

경북은 이의근(李義根)현 지사 추대론이 우세한 가운데 권오을(權五乙)의원이 경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경남은 김혁규(金爀珪)현 지사가 합의 추대를 바라고 있지만 김용균(金容鈞)의원이 경선 출마를 선언했고 이강두(李康斗)의원도 미련을 갖고 있다.

반면 경기(孫鶴圭 의원)·강원(金振? 지사)·제주(愼久範 전 지사)는 합의 추대론이 대세다.또 충남북은 뚜렷한 후보가 없는 상태에서 합의 추대를 전제로 외부 인사 영입을 추진 중이며, 호남 지역은 극심한 인물난으로 경선은 엄두도 못내고 있다.

최상연·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