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최대 반도체 빅딜 임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하이닉스반도체와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 통합 협상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메모리 사업 부문 매각금액을 놓고 양쪽의 시각차가 급격히 좁혀졌다.이로써 사상 최대의 반도체 빅딜은 협상 타결을 위한 최종 수순에 접어들 전망이다.
◇"괜찮은 금액"='40억달러 안팎'이라는 가격협상의 결말은 마이크론 쪽에서 상당한 성의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40억달러 이상을 주면 안된다는 게 미국 월가의 정서였음을 감안할 때 마이크론 쪽에서 하이닉스 인수에 대한 애착이 그만큼 강했음을 엿볼 수 있다. 독일 인피니온이 뒤늦게 하이닉스 제휴 협상에 뛰어든 점도 가격 올리기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채권단도 이 정도의 금액이면 추인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채권단은 그동안 줄곧 '매각우선'원칙을 견지해왔다. D램가격의 반등을 계기로 하이닉스 독자생존론이 퍼질 때도 채권단의 이러한 방침은 굳건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40억달러 정도면 전체 채권 중 70% 이상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반도체 업계 판도변화=세계 2,3위의 D램업체가 합치면 국제 반도체 업계는 엄청난 지각변동을 겪게 된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IDC에 따르면 마이크론(2위)과 하이닉스(3위)가 합치면 세계 D램시장의 42%를 차지하게 된다. 마이크론이 세계 1위 업체(30% 안팎)인 삼성전자를 누르고 정상에 오르면서 세계 메모리 업계는 마이크론·삼성전자·인피니온의 3강구도로 재편된다. 시장지배력이 큰 업체 수가 줄면서 과잉생산을 덜고 반도체 값 안정을 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입장에선 아쉬움이 없을 수 없다. 금융 혼란이 두려워 하이닉스 매각을 서둘러야 했던 점을 감안하더라도 한국이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 자리를 너무 쉽게 포기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40억달러 역시 헐값이라는 국부유출론도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5조원이라면 현대전자가 LG반도체를 인수할 때 가격(지분매입가 2조5천6백억원, 부채 3조원)과 비슷하다는 점이 아쉬움을 키운다.
◇변수는 여전=메모리 사업 부문을 팔고 남는 비메모리 부문의 처리문제는 여전히 변수로 남는다. 채권단 고위 관계자는 "비메모리 분야도 간과할 수 없는 중요 현안이며 마이크론과의 입장 차이가 의외로 클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협상의 급진전 소식은 국내외 증시에 호재가 될 전망이다. 리젠트증권의 김경신 상무는 "억눌렸던 악재가 해결기미를 보이면서 전체적 흐름은 증시에 긍정적일 것 같다"고 점쳤다.
정선구·양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